*경상-부산-대구 580

울주 동매산 자연습지

이 주변 볼거리를 다음 순서대로 찾아갔다. 1. 암각화박물관(http://blog.daum.net/dbsqkqh/5803) 2. 집청정(http://blog.daum.net/dbsqkqh/5804) 3. 반구대(http://blog.daum.net/dbsqkqh/5805 4. 반구서원, 모은정(http://blog.daum.net/dbsqkqh/5806) 5. 반고서원 유허비(http://blog.daum.net/dbsqkqh/5807) 6. 연로개수기(http://blog.daum.net/dbsqkqh/5808) 7. 동매산 자연습지(http://blog.daum.net/dbsqkqh/5810) 8. 대곡리 공룡 발자국화석(http://blog.daum.net/dbsqkqh/5809) 9. 울주 대곡리..

울주 대곡리공룡발자국화석(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3호)

이 주변 볼거리를 다음 순서대로 찾아갔다. 1. 암각화박물관(http://blog.daum.net/dbsqkqh/5803) 2. 집청정(http://blog.daum.net/dbsqkqh/5804) 3. 반구대(http://blog.daum.net/dbsqkqh/5805 4. 반구서원, 모은정(http://blog.daum.net/dbsqkqh/5806) 5. 반고서원 유허비(http://blog.daum.net/dbsqkqh/5807) 6. 연로개수기(http://blog.daum.net/dbsqkqh/5808) 7. 동매산 자연습지(http://blog.daum.net/dbsqkqh/5810) 8. 대곡리 공룡 발자국화석(http://blog.daum.net/dbsqkqh/5809) 9. 울주 대곡리..

울주 연로개수기

대곡천 가장자리의 바위 면에 새겨진 일종의 바위에 쓴 글로 훼손이 심한편이다. 이 명문은 길의 이름이 연로였다는 것과 더불어 1655년 이전에 이미 길이 개설되어 있었다는 것을 알려준다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가 있다. 한편 연로는 벼루길이라는 뜻으로 ‘벼루처럼 미끄러운 바윗길’ ‘벼루에서 음차한 벼랑길’ ‘사대부들이 수시로 드나들던 학문길’ 등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연로개수기는 반구서원 지나자 마자 오르막길 왼쪽에 있다. 이 주변 볼거리를 다음 순서대로 찾아갔다. 1. 암각화박물관(http://blog.daum.net/dbsqkqh/5803) 2. 집청정(http://blog.daum.net/dbsqkqh/5804) 3. 반구대(http://blog.daum.net/dbsqkqh/5805 4. 반구서..

울주 반고서원유허비(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3호)

이 주변 볼거리를 다음 순서대로 찾아갔다. 1. 암각화박물관(http://blog.daum.net/dbsqkqh/5803) 2. 집청정(http://blog.daum.net/dbsqkqh/5804) 3. 반구대(http://blog.daum.net/dbsqkqh/5805 4. 반구서원, 모은정(http://blog.daum.net/dbsqkqh/5806) 5. 반고서원 유허비(http://blog.daum.net/dbsqkqh/5807) 6. 연로개수기(http://blog.daum.net/dbsqkqh/5808) 7. 동매산 자연습지(http://blog.daum.net/dbsqkqh/5810) 8. 대곡리 공룡 발자국화석(http://blog.daum.net/dbsqkqh/5809) 9. 울주 대곡리..

울주 반구서원-모은정

반구대 맞은편에 있는 반구서원이다.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 가기전 집청정 지나 왼편에 있다. 뒷편에는 포은 선생을 사모하여 지은 모은정이 있다는데 반구서원에 가려 잘 보이지 않는다. 모은정은 반구서원 뒷편에 지붕이 조금 보이는 건물이 아닌가 한다. 모은정은 이용필의 뜻에 따라 이정혁이 (1871~1952)이 지어서 포은선생을 기렸다. 이 주변 볼거리를 다음 순서대로 찾아갔다. 1. 암각화박물관(http://blog.daum.net/dbsqkqh/5803) 2. 집청정(http://blog.daum.net/dbsqkqh/5804) 3. 반구대(http://blog.daum.net/dbsqkqh/5805 4. 반구서원, 모은정(http://blog.daum.net/dbsqkqh/5806) 5. 반고서원..

울주 반구대

울주 반구서원 앞 개울 건너 맞은편에 있다. 반구대는 포은 정몽주선생이 머물렀던 곳이라 해서 포은대라고도 한다. 겸재 정선이 작품 를 통해 아름다운 풍경으로 남긴 곳이다. 반구대 위에 있는 비각 안에는 반고서원 유허비(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3호)인 세 개의 비석이 있다. 포은대 영모비(1885). 포은대실록(1890). 반고서원 유허비실기(1901)이다. 이 주변 볼거리를 다음 순서대로 찾아갔다. 1. 암각화박물관(http://blog.daum.net/dbsqkqh/5803) 2. 집청정(http://blog.daum.net/dbsqkqh/5804) 3. 반구대(http://blog.daum.net/dbsqkqh/5805 4. 반구서원, 모은정(http://blog.daum.net/dbsqkqh/58..

울주 집청정

이 주변 볼거리를 다음 순서대로 찾아갔다. 1. 암각화박물관(http://blog.daum.net/dbsqkqh/5803) 2. 집청정(http://blog.daum.net/dbsqkqh/5804) 3. 반구대(http://blog.daum.net/dbsqkqh/5805 4. 반구서원, 모은정(http://blog.daum.net/dbsqkqh/5806) 5. 반고서원 유허비(http://blog.daum.net/dbsqkqh/5807) 6. 연로개수기(http://blog.daum.net/dbsqkqh/5808) 7. 동매산 자연습지(http://blog.daum.net/dbsqkqh/5810) 8. 대곡리 공룡 발자국화석(http://blog.daum.net/dbsqkqh/5809) 9. 울주 대곡리..

울산암각화박물관

월요일에 갔기에 내부관람을 못했다. 그러나 박물관마다 월요일에는 휴관한다는 것을 알지만 울산에서 일요일에 있는 생질 아들 결혼식에 갔다가 1박하고 국보285호인 울주대곡리반구대암각화를 보기 위해 들렀다. 일하는 분들께 양해를 구하고 이곳에 주차한 후 걸어서 암각화를 보러갔다. 이 주변 볼거리를 다음 순서대로 찾아갔다. 1. 암각화박물관(http://blog.daum.net/dbsqkqh/5803) 2. 집청정(http://blog.daum.net/dbsqkqh/5804) 3. 반구대(http://blog.daum.net/dbsqkqh/5805 4. 반구서원, 모은정(http://blog.daum.net/dbsqkqh/5806) 5. 반고서원 유허비(http://blog.daum.net/dbsqkqh/58..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국보 제285호)

월요일에 갔기에 울산암각화박물관은 들어가보지 못했다. 대신 여기에 주차를 하고 암각화까지 걸어갔다. 가면서 여유있게 여러가지 구경을 했고 코로나19로 인해 관람객이 거의 없어 한적했다. 가면서 다음과 같이 구경을 하였는데 왕복 1시간 남짓 걸린것 같았다. 이 주변 볼거리를 다음 순서대로 찾아갔다. 1. 암각화박물관(http://blog.daum.net/dbsqkqh/5803) 2. 집청정(http://blog.daum.net/dbsqkqh/5804) 3. 반구대(http://blog.daum.net/dbsqkqh/5805 4. 반구서원, 모은정(http://blog.daum.net/dbsqkqh/5806) 5. 반고서원 유허비(http://blog.daum.net/dbsqkqh/5807) 6. 연로개수기..

울산 위열공김취려의묘(울산광역시 기념물 제7호)

김취려묘의 위치는 '언양읍 송대리 산 15'이다. 넓은 지역이라 찾기 쉽지 않다. 다음지도에 위치 표시도 실제보다 서쪽으로 150여m 치우쳐 있다. 김취려(?~1234)는 언양현 사람으로 아버지인 김부는 예부시랑(禮部侍郞)을 지냈다. 그는 1216년(고려 고종 3)부터 1219년(고종 6)까지 거란군의 여러 차례 공격을 물리쳐 나라를 어려움에서 구하였다. 당시 13세기 동아시아의 정세는 몽골이 크게 흥기하고 있었으며, 거란 역시 몽골의 공격을 받아 1216년 압록강을 건너 고려의 북방지역으로 밀려오게 되었다. 이때 김취려는 대장군으로 조양진(평안남도 개천시 조양)에서 거란군을 물리쳤고, 연주(평안북도 영변군)에서도 거란군의 포위를 돌파하였다. 이에 거란군은 청새진(淸塞鎭: 평안북도 희천)을 넘어 퇴거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