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내수전 일출전망대 내수전 일출전망대 안내판. 내수전입구 주차장에 주차하고 10여분 걸어서 올라가야 한다. 날씨가 안받쳐 주네요. 안개가 끼어 잘 안보입니다. 죽도가 흐리게 보입니다. *경상-부산-대구/울릉도 첫번째 2013.01.31
울릉도 남서터널 울릉도 서면소재지에서 천부쪽으로 가자마자 있는 터널로 투구봉(http://blog.daum.net/dbsqkqh/2679) , 사자바위(http://blog.daum.net/dbsqkqh/2639) 지나자 바로있다. *경상-부산-대구/울릉도 첫번째 2013.01.30
울릉도 남통터널 울릉도에 있는 신호등과 남통터널. 도로가 1차라 서로 신호를 보고 터널속에 진입해야한다. 통구미와 서면소재지 사이에 있다. *경상-부산-대구/울릉도 첫번째 2013.01.30
울릉도 섬시호와 섬현삼 섬시호와 섬현삼은 전 세계적으로 울릉도에만 자라는 특산물이다. 현재 희귀 멸종위기식물 및 보호식물로 지정되어 있다. 현재 울릉 특산물 섬시호와 섬현삼의 자생지 복원 중이다. *경상-부산-대구/울릉도 첫번째 2013.01.25
울릉 도동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군락(천연기념물51호)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는 나무의 키가 작고 밑동에서 가지를 많이 치는 떨기나무로 잎은 봄에 돋았다가 가을에 떨어진다. 섬개야광나무는 장미과에 속하고 5∼6월에 하얀 꽃이 피고 키는 1.5m 가까이 자란다. 섬댕강나무는 인동(忍冬)과에 속하며 꽃은 5월에 연한 황색으로 피며 키는 1.. *경상-부산-대구/울릉도 첫번째 2013.01.25
울릉도 학포3 학포마을은 조용하면서도 파도소리에 시끄러운 동네이다. 가구수도 얼마 안된다. 명이(산마늘) 자연산 목이버섯 우연히 여기에 사시는 분을 만나 임오면 각석문에 대하여 안내를 들었고 맛있는 차까지 얻어 마셨다. 서울에서 사업을 하다가 실패하고 울릉도에 왔다가 눌러 앉았다 한다. .. *경상-부산-대구/울릉도 첫번째 2013.01.25
울릉도 학포2 울릉도 태하리임오명각석문(경상북도 문화재자료412호, http://blog.daum.net/dbsqkqh/3366) 오른쪽 바위에 태하리 임오명 각석문이 있다. 태하2리 마을회관 *경상-부산-대구/울릉도 첫번째 2013.01.25
울릉도 학포1 울릉도 서면 태하리 학포. 태하리임오명각석문(경상북도 문화재자료412호, http://blog.daum.net/dbsqkqh/3366)이 있는 곳. 학포 지명유래 태하리와 구암마을 사이에 있는데 학포버스주차장에서 내려 한참을 걸어가야 한다. 경사진 아스팔트길따라 내려 간다. 뒤돌아본 모습 멀리 학포항이 보이네.. *경상-부산-대구/울릉도 첫번째 2013.01.18
울릉도 태하리임오명각석문(경상북도 문화재자료412호) 해안에 면해 있는 암벽의 평탄면에 새겨진 각기문(刻記文)이다. 서로 5m 가량 떨어져서 3곳에 기록이 있다. 1개소에는 가로로 ‘울릉도(蔚陵島)’라 새겨져 있다. 3개소 중 가운데 것에는 ‘검찰사(檢察使) 이규원(李奎遠) 임오오월(壬午五月)’이라 새겨 두었으며, 다른 한 곳에는 풍화로 .. *경상-부산-대구/울릉도 첫번째 2013.01.17
울릉 통구미 향나무 자생지(천연기념물48호) 향나무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을 비롯해 울릉도와 일본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상나무·노송나무로도 불린다. 이 나무는 강한 향기를 지니고 있어 제사 때 향을 피우는 용도로 쓰이며, 정원수·공원수로 많이 심는다. 통구미의 향나무는 울릉도 남양리의 마을 뒤 험한 암벽 틈에서 자라고 .. *경상-부산-대구/울릉도 첫번째 2013.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