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 현포동고분군(경상북도 기념물73호) 울릉도 내에서 가장 많은 무덤이 밀집하여 분포한 무덤들이다. 완만한 경사면에 40여기가 분포하고 있다. 무덤의 형태는 기단을 만들고 가운데 직사각형의 돌방(석실)을 만들어, 시체를 넣고 그 위에 돌을 이용하여 봉분을 만든 이른바 석총으로 삼국시대의 것으로 생각된다. 울릉현 포동.. *경상-부산-대구/울릉도 첫번째 2013.01.17
울릉 대풍감 향나무 자생지(천연기념물49호) 향나무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을 비롯해 울릉도와 일본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상나무·노송나무로도 불린다. 이 나무는 강한 향기를 지니고 있어 제사 때 향을 피우는 용도로도 쓰이며 정원수·공원수로 많이 심는다. 울릉도에는 본래 많은 향나무가 자라고 있었는데, 사람들이 나무를 .. *경상-부산-대구/울릉도 첫번째 2013.01.17
울릉 나리동 울릉국화와 섬백리향군락(천연기념물52호) 울릉국화는 들국화의 한 종류인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9∼10월에 핀다. 섬백리향은 키가 작고 밑둥에서 가지를 많이 치는 나무로 잎은 봄에 돋아 가을에 떨어진다. 꽃향기가 백 리를 갈 만큼 매우 강하다 하여 백리향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나리동의 울릉국화와 섬백리향 군락은 예전의 화.. *경상-부산-대구/울릉도 첫번째 2013.01.17
울릉 태하동 솔송나무·섬잣나무·너도밤나무군락(천연기념물50호)2 급경사의 오솔길을 올라가면 갈림길이 나온다. 왼쪽으로 가면 구암마을 가는 길이고 오른쪽길은 태하령, 태하리 가는 길이다. 오른쪽으로 간다. 드디어 태하동 솔송나무·섬잣나무·너도밤나무군락 안내판이 오른쪽에 있다. 급커브가 나오고 다른 종류의 나무가 부둥켜 안고 있네요. 뒤.. *경상-부산-대구/울릉도 첫번째 2013.01.14
울릉 태하동 솔송나무·섬잣나무·너도밤나무군락(천연기념물50호)1 솔송나무·섬잣나무·너도밤나무는 줄기가 굵고 비교적 위쪽으로 가지가 퍼져 자라는 나무들로, 솔송나무와 섬잣나무는 4계절 잎이 푸른데 반하여, 너도밤나무는 크고 넓은 잎이 봄에 돋았다가 가을에 떨어진다. 솔송나무·섬잣나무·너도밤나무는 일본에서는 흔히 볼 수 있지만 우리.. *경상-부산-대구/울릉도 첫번째 2013.01.14
울릉 남서동고분군(경상북도 기념물72호) 이 일대는 울릉도에서 밀집 분포하고 있는 무덤 중 하나이다. 무덤은 산록경사면에 괴석을 이용하여 축대 또는 기단을 쌓아 평평하게 하고, 그 위에 시신을 모시는 돌덧널무덤(석곽묘)을 만들었으며, 그 위에 돌로 봉분을 만들은 적석총 형태이다. 돌덧널(석곽) 입구의 앞은 수직벽으로 .. *경상-부산-대구/울릉도 첫번째 2013.01.14
울릉 사동 흑비둘기서식지(천연기념물237호) 흑비둘기는 비둘기의 한 종으로 주로 우리나라와 일본 등에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울릉도나 제주도, 남해안의 일부 섬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동백나무에도 서식하지만 한국에서는 후박나무 숲을 생활환경으로 하고 있어서 후박나무와 흑비둘기의 분포가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경상-부산-대구/울릉도 첫번째 2013.01.04
울릉 나리동 투막집(경상북도 문화재자료182호) 울릉도 전통가옥의 형태를 간직하고 있는 집으로 1940년대에 지은 것이다. 투막집이라고도 불리는 귀틀집은 통나무를 井자형으로 귀를 맞추어 쌓아 올려 벽을 만들고, 그 위에 너와·굴피·화피 따위로 지붕을 이은 집을 가리킨다. 3칸 규모의 一자형 집으로 귀틀로 벽을 짠 머릿방과 큰.. *경상-부산-대구/울릉도 첫번째 2013.01.04
울릉 나리동 너와집(중요민속문화재256호) 이 집은 울릉도 개척당시(1883년)에 있던 울릉도 재래의 집 형태를 간직하고 있는 너와집으로 1940년대에 건축한 것이다. 이집은 5칸 일자집으로 지붕은 너와로 이었다. 큰방, 중간방, 갓방은 전부 귀틀구조로 되어있는데 큰방과 중간방은 정지에서 내굴로 되었고 갓방은 집 외부에 돌린 우.. *경상-부산-대구/울릉도 첫번째 2013.01.04
울릉 나리동 투막집(중요민속문화재256호) 이 집은 울릉도 개척당시(1883년)에 있던 울릉도 재래의 집 형태를 간직하고 있는 너와집으로 1940년대에 건축한 것이다. 이집은 5칸 일자집으로 지붕은 너와로 이었다. 큰방, 중간방, 갓방은 전부 귀틀구조로 되어있는데 큰방과 중간방은 정지에서 내굴로 되었고 갓방은 집 외부에 돌린 우.. *경상-부산-대구/울릉도 첫번째 2013.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