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에서 저동까지 강릉에서 출항한 배가 망망대해를 향해 질주하고 2시간 넘어가니 울릉도가 해무사이로 보이고, 뽀족한 봉우리가 송곳봉. 드디어 저동항으로 저동항 밖으로 보이는 북저바위 촟대암과 뒤로 행남(도동)등대가 보인다. 타고온 씨스타호 저동항과 북저바위 *경상-부산-대구/울릉도 첫번째 2012.07.05
강릉항에서 울릉도로 여객선으로 울릉도에 가는 방법은 강릉, 묵호, 포항 등에서 갈 수 있다. 강릉에서 울릉도에 가는 시스타호는(http://www.ulleung.go.kr/tour/page.htm?mnu_uid=945) 2시간 30분이면 된다. 서울 경기지역에서 강릉항에 가는 셔틀버스가 있다. 강릉항이 좋은 점은 주차료를 받지 않는다. 포항이나 묵호에서 .. *경상-부산-대구/울릉도 첫번째 2012.06.28
문경 대하리소나무(천연기념물425호) 문경 대하리 소나무는 장수황씨 사정공파 종중 소유의 수령 400여년으로 추정되는 반송으로 줄기와 가지가 용트림 형상으로 구부러져 옆으로 뻗어 우산 2개를 받쳐놓은 듯한 모양을 하고 있어 매우 특이하며 아름답다. 과거 방촌 황희 선생의 영정을 모신 장수 황씨의 종택(지방문화재 제.. *경상-부산-대구/천연기념물, 노거수 2012.06.20
합천호 합천테마파크에서 영상로 따라 합천호로 가다가 합천호반로와 만난 죽죽리 삼거리. 이곳에서 우회전하여 반시계방향으로 돌아 대병면 유전리까지 바라본 합천호. *경상-부산-대구/기타 2012.04.18
합천 모암조공 효행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235호인 봉서정과 도촌별묘(http://blog.daum.net/dbsqkqh/2166) 가기전에 있는 모암조공 효행비인데 봉서정과 도촌별묘와 관련이 있는 분 같네요. *경상-부산-대구/기타 2012.04.15
합천 봉서정과 도촌별묘(경상남도 유형문화재235호) 봉서정은 조선 인조 원년(1623)에 오계 조정립 선생이 인재를 키우기 위해 세운 곳이다. 봉서정과 도촌별묘는 남북으로 나란히 세워져 있으며 돌담을 둘러 경계를 하고 있다. 봉서정은 앞면 4칸·옆면 2칸으로 지붕 옆모습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되어있다. 왼쪽부터 온돌방, .. *경상-부산-대구/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4.15
합천 송림리 마씨종택철검(경상남도 문화재자료446호) 鐵製의 칼로 검신[劍身]과 슴베[莖]가 여러 차례의 담금질로 鍛造되었고 칼집[鞘]과 손잡이[把柄]은 오동나무이다. 劍身의 단면은 이등변삼각형으로 한 면은 평면이고 반대쪽 면은 山形이다. 칼날 끝[鋒]에서 손잡이 쪽으로 7.7cm 지점의 山형면에 V자형 갈고리가 부착되었다고 하나 현.. *경상-부산-대구/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04.15
합천 송림리 충무후마귀영정(경상남도 문화재자료419호) 이 영정은 정유재란에 공을 세운 명나라 장수 마귀제독(1541~1612) 영정으로 명주바탕에 채색을 한 좌안8분면의 금관조복의 차림으로 호피를 두른 의자에 앉은 채 양손을 모아 공수자세로 홀을 쥐고 있는 전신교의좌상이다. 인물의 안면부는 주색으로 윤곽선을 그리고 살색으로 채색하였.. *경상-부산-대구/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04.15
합천 송림리 마씨종택 합천 마씨종택에는 경상남도 문화재자료419호인 합천송림리충무후마귀영정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446호인 합천송림리마씨종택철검이 보관되어 있다. 마씨종택은 합천호 동편의 1034도로인 인덕로를 따라 가다보면 봉산면 송림리가 나온다. 마씨종택에는 합천 송림리 마씨종택철검(경상.. *경상-부산-대구/기타 2012.04.15
합천우곡리폐사지(경상남도 기념물258호) 1) 지리적 환경 : 신청지는 합천호 동쪽 소룡산(519.7m)에서 북동쪽으로 흘러내리다 다시 남쪽으로 길고 완만하게 뻗은 해발 240m의 구릉 상에 위치한 폐사지이다. 신청지 동단 547번지 중심에 위치한 추정 금당지를 비롯하여 신천범위의 전부가 분묘, 경지, 택지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신청 .. *경상-부산-대구/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