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부산-대구 580

합천군수 이증영유허비(경상남도 유형문화재367호)

이 비는 합천군수를 지낸 적이 있는 이증영(?∼1563)의 공적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것이다. 이 비석은 조선 명종 14년(1559)에 세워진 것으로, 비문을 지은 이는 남명 조식(1501∼1572)이고, 글씨는 고산 황기로(1521∼1567)가 썼다. 가로 87cm, 세로 202cm, 폭 17cm 의 형식을 지녔으며 비문은 전체 13행, ..

합천 신라충신죽죽비(경상남도 유형문화재128호)

신라 선덕여왕 때에 활동했던 충신 죽죽(?∼642)의 충절을 기리고 있는 비이다. 죽죽은 대야주(지금의 합천) 사람으로, 선덕여왕 11년(642) 대야성이 백제군에 함락될 때 대나무와 같은 절개로 끝까지 굴하지 않고 맞서 싸우다 전사 하였다. 그 후 선덕여왕은 그의 용맹성과 나라를 위한 충절..

합천 강양향교(경상남도 문화재자료210호)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합천군 소재지에 처음 지었던 합천향교는 조선 고종 18년(1881) 수해 때 합천군청을 야로면으로 옮기면서 함께 옮겼다. 그 뒤 1965년 합천·용주·율곡·대양면의 유림들이 지금 있는 자..

합천 당암 강익문 교지(경상남도 문화재자료425호)

당암 강익문 교지 4매는 강익문이 진사 급제한 백패(1589)1매, 문과 급제한 홍패(1606)1매, 예조참판, 예조판서 증직 교지(1648)2매로 원형대로 잘보존되어 있고 관리상태도 양호한 중요한 자료임.(출처 : 문화재청) 강익문(1568∼1648)의 자는 군우(君遇), 호가 당암(戇庵)이다. 내암 정인홍의 문인..

합천 한사 강대수 교지(경상남도 문화재자료390호)

한사 강대수는 인조반정 이전 광해군 시절에 문과에 급제하여 중앙 부서의 청직을 두루 역임한 인물이다. 그러나 홍패 등을 포함한 이 당시의 교지는 없고, 인조반정 이후 1631년 홍문관 수찬부터 1653년 예조참의에 제수된 교지까지만 남아 전한다. 특히 위의 교지를 보면 1631년부터 1638년..

합천 한사집책판(경상남도 문화재자료391호)

(1) 책판의 크기 전체 길이 53cm, 너비 20cm, 두께 약 2cm이며, 마구리 길이는 28cm이다. 광곽(匡廓)의 가로는 34.5cm, 세로는 20cm이다. (2) 책판의 수량 서문 3매 6장, 1권 21매 39장, 2권 18매 35장, 3권 22매 42장, 4권 11매 22장, 5권 25매 49장, 6권 12매 24장, 7권 21매 39장 등 총계 133매 256장이다 (3) 책판의 저..

합천 주자영정(경상남도 문화재자료127호)

혜암 주자 선생의 초상화로, 가로 34㎝, 세로 73㎝이다. 약 140년 동안 강원도의 오봉서원에 보관해 오다가, 고종 5년(1868) 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때 이 서원이 없어지면서 이곳 주영양각으로 옮겨 보존하고 있다.(출처 : 문화재청) 이 영정은 주자학의 창시자인 남송(南宋)의 유학자 주희[朱熹,..

합천 청금사와 충현사(경상남도 문화재자료128호)

이원경의 후손들이 그를 추모하기 위해 지은 사당이다. 이원경은 고려지현관 직제학 금자광록 대부를 지낸 인물로, 후에 벼슬을 사직하고 합천군 두상면 상상곡에서 살았다. 사당은 조선 숙종 18년(1692)에 지었고, 원래 앞면이 4칸이었으나 후에 양측에 1칸씩 늘려 지었다. 지붕은 옆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