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 이양재 및 침호정 등록 문화재는 아니지만 경상남도 문화재자료233호인 벽한정을 보고 나오는 길에 바위에 새긴 안내판을 보고 찾아 갔다. 벽한정 가는 맞은편으로 들어가면 있다. 자세한 안내판은 없어 자세한 사항은 모르겠다. *경상-부산-대구/기타 2012.04.15
합천손목리영모록및무민당집책판(경상남도 유형문화재470호) 영모록 책판 가) 개관 : 이 책판은 영모록의 원집 17장과 습유 7장 등 도합 24장 12매로 구성되어 있다. 대체적인 크기는 가로 52.5cm, 세로 27cm, 두께 2cm이며, 광곽의 크기는 가로 32.5cm, 세로 20cm이다. 나) 영모록의 제작 경위와 그 주요 내용 및 특징 : 영모록은 무민당(无悶堂) 박인(朴絪, 1583∼16.. *경상-부산-대구/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4.15
합천 벽한정(경상남도 문화재자료233호) 벽한정은 고령 박씨인 무민당 박인(1583∼1640) 선생이 학문을 닦고 연구하던 곳으로, 성리학을 연구하는 유학자들을 위해 지은 정자이다. 박인 선생은 관직에 뜻을 두지 않고 시골에서 은거행활을 하던 선비로, 덕망과 학식과 충절이 뛰어났다. 인조 17년(1639)에 세운 정자의 규모는 앞면 3칸.. *경상-부산-대구/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04.15
합천 입북리 임강정(경상남도 문화재자료480호) 입북리 임강정(경상남도 문화재자료480호)은 합천 율곡면 입북리 53-7에 위치한다. 경상남도 문화재자료480호로 2009. 10. 22일 지정되었는데 진주강씨임강정종중 소유다. 아직 문화재청이나 합천군청 홈피에 문화재에 대한 안내도 없다. 임강정 관리도 허술하며 현장 안내판도 없다. 경상남.. *경상-부산-대구/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04.15
합천 호연정(경상남도 유형문화재198호) 조선 선조(재위 1567∼1608) 때 예안현감을 지내던 이요당 주이 선생이 관직에서 물러나 이곳에 호연정을 짓고 많은 제자들을 길러냈다. 그 후 임진왜란 때 불탔으나 후손들이 그의 덕을 추모해 다시 지었다. 앞면 3칸·옆면 2칸의 1층 건물로 지붕 옆모습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으.. *경상-부산-대구/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4.12
합천 호연정 노거수들2 배롱나무인데 상당히 크네요. 호연정 밖 느티나무. 상수리 나무인데 무척 크네요. 내가 본 상수리 나무 중에서 큰축에 드네요. *경상-부산-대구/천연기념물, 노거수 2012.04.12
합천 호연정 노거수들1 경상남도 유형문화재198호인 호연정에 있는 은행나무인데 이 은행나무는 대부분 껍질이 죽어 없고 나무 속으로 조릿대가 크고 있다. *경상-부산-대구/천연기념물, 노거수 2012.04.12
합천 연호사 연호사 들어 가기 전에 일주문을 세우고 있는데 일주문 안쪽에 합천 대야성(경상남도 기념물133호, http://blog.daum.net/dbsqkqh/2151), 함벽루(경상남도 문화재자료59호, http://blog.daum.net/dbsqkqh/2152), 합천군수이증영유허비(경상남도 유형문화재367호, http://blog.daum.net/dbsqkqh/2149)가 있는데 여기에 일주.. *경상-부산-대구/기타 2012.04.12
합천 함벽루(경상남도 문화재자료59호) 고려 충숙왕 8년(1321)에 합주 지주사 김모가 지었다. 여러 번 고쳐 세웠으며, 이황(1501∼1570)·조식(1501∼1572)·송시열(1607∼1689) 등의 글이 누각 안에 걸려 있다. 뒤 암벽에 새겨진 ‘함벽루’글씨는 우암 송시열이 쓴 것이다.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의 2층 누각으로, 지붕은 옆에서 볼 때 .. *경상-부산-대구/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04.12
합천대야성(경상남도 기념물133호) 경상남도 합천군 해발 90m의 매봉산 정상울 둘러 쌓은 대야성은 흙과 돌을 이용하여 쌓은 성이다. 이 곳은 삼국시대 때 백제와 신라 서부지방의 접경지대로, 신라 진흥왕 25년(565)에 신라가 백제의 침공을 막기 위해 쌓았다 한다. 진덕여왕 11년(642) 백제 윤충의 공격으로 함락된 적이 있었는.. *경상-부산-대구/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