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천 동본리 석조여래입상(보물427호)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동본동 3층석탑과 함께 전해오는 통일신라 후기의 불상으로 하나의 돌에 새겨진 전체 높이 3.46m의 거대한 석조불상이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정수리 부근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큼직하게 표현되었다. 원만한 얼굴..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2.02.23
예천 금당실 송림(천연기념물469호) 예천 금당실 송림은 천재나 전쟁에도 마음 놓고 살수 있다는 땅을 일컫는 십승지지의 한군데로 알려져 있는 예천 용문면 금당실 마을의 수해방지와 바람막이를 위하여 조성된 송림이다. 금당실 서북쪽에 위치하는 숲으로 오미봉 밑에서부터 용문초등학교 앞까지 약 800m에 걸쳐 소나무 .. *경상-부산-대구/천연기념물, 노거수 2012.02.23
예천 용문사 소백산 용문사(http://www.yongmoonsa.org/) 일주문. 보물145호 용문사 대장전 대장전 안에 있는 보물989-1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및 보물989-2 예천 용문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좌우에 보물인 윤장대가 있다. 대장전 안에 있는 보물684 예천 용문사 윤장대. 좌우에 2개가 있.. *경상-부산-대구/기타 2012.02.23
예천 용문사 대장전(보물145호) 용문사는 통일신라 경문왕 10년(870) 두운선사가 세운 절이다. 팔만대장경의 일부를 보관하기 위해 대장전을 지었다고 하는데 지은 시기는 알 수 없고 전하는 기록에 조선 현종 11년(1670)에 고쳤다고 하며, 그 후에도 여러차례 수리되었다. 규모는 앞면 3칸·옆면 2칸이며 지붕은 옆..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2.02.23
예천 용문사 대장전 목불좌상 및 목각탱(보물989호) 숙종 10년(1684)에 만들어진 것으로 지금까지 알려진 목각후불탱 중 가장 이른 시기의 작품이다. 기본구조는 상하가 긴 사각형이지만 좌우로 구름무늬 광선을 표현한 둥근 모양의 조각을 덧붙여 장엄하게 장식하고 있다. 중앙에 모셔진 얼굴은 앞으로 약간 숙여 사바세계를 굽어 살..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2.02.23
예천 용문사 윤장대(보물684) 용문사 대장전 안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내부에 불경을 넣고 손잡이를 돌리면서 극락정토를 기원하는 의례를 행할 때 쓰던 도구이다. 마루 밑에 회전축의 기초를 놓고 윤장대를 올려놓았으며, 지붕 끝을 건물 천장에 연결하였다. 불단(佛壇)을 중심으로 좌우에 1기씩 놓여있는..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2.02.23
합천 화양리 소나무(천연기념물289호) 3 합천 회양리의 소나무는 해발 500m 정도 되는 곳에 위치한 화양리 나곡마을의 논 가운데 서 있으며 나이는 500년 정도로 추정된다. 높이 17.7m, 둘레 6.15m의 크기로 가지는 2.5∼3.3m 높이에서 갈라져 다시 아래로 처지 듯 발달하였는데 그 모습이 매우 독특하고 아름답다. 나무 껍질이 거북이 .. *경상-부산-대구/천연기념물, 노거수 2012.02.20
예천 초간정 원림(명승51호) 초간정은 조선 선조 때 학자인 초간 권문해(1534~1591)가 오랜 관직생활과 당쟁에서 벗어나 자연을 즐기기 위해 고향으로 돌아와 창건한 정자로 맑은 계곡과 푸른 소나무림 사이의 암석 위에 위치하고 있다. 조선시대 사림의 은일(隱逸)생활과 무위자연(無爲自然)을 바탕으로 하는 .. *경상-부산-대구/명승, 사적 2012.02.20
예천 초간정(경상북도 문화재자료143호) 우리나라 최초의 백과사전『대동운부군옥』을 지은 초간 권문해(1534∼1591) 가 세운 것으로 심신을 수양하던 정자이다. 권문해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백과사전류인 『대동운부군옥』 20권을 지어 국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남겨 놓았다. 정자는 조선 선조 15년(1582)에 처음 지었고, 선.. *경상-부산-대구/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02.20
예천권씨 초간종택별당(보물457호) 조선 중기의 문신인 초간 권문해(1534∼1591) 선생의 할아버지 권오상 선생이 지었다고 전하는 건물이다. 규모는 앞면 4칸·옆면 2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앞쪽에서 보면 오른쪽 3칸은 대청마루고 왼쪽 1칸은 온돌방인데 온돌방은 다시 2..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2.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