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 임청대(전라남도 유형문화재77호) 임청대는 김굉필과 조위의 덕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비석이다. 조선 연산군(재위 1494∼1506) 때 무오사화(1498)로 순천에서 귀양살이를 하던 김굉필과 조위가 돌을 쌓아 대(臺)를 만들었다. 조위가 항상 마음을 깨끗하게 가지라는 뜻으로 ‘임청대’라는 이름을 지었다. 갑자사화(1504)로 김..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7.28
순천향교(전라남도 유형문화재127호) 2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순천향교는 태종 7년(1407)에 성동리에 세웠으나 1550년에 옮겼다.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순조 1년(1801)에 현재의 위치에 다시 지었다. 대성전을 중심으로 한 제사공간과 명륜당을 ..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7.28
순천향교(전라남도 유형문화재127호) 1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순천향교는 태종 7년(1407)에 성동리에 세웠으나 1550년에 옮겼다.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순조 1년(1801)에 현재의 위치에 다시 지었다. 대성전을 중심으로 한 제사공간과 명륜당을 ..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7.28
영암 월출산(전라남도 기념물 3호) 2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3,00030000,36&queryText=((V_KDCD=23)) <and>(((V_NO >=3)<and>(V_NO <= 3)))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5.30
영암 월출산(전라남도 기념물 3호) 1 강진군과 영암군을 경계로 동쪽으로는 장흥, 서쪽으로는 해남, 남쪽으로는 완도를 비롯한 다도해를 바라보는 곳에 있는 월출산은 천황봉을 최고봉으로 하여 구정봉, 사자봉, 도갑봉, 주거봉 등 깎아지른 듯한 기암절벽이 많다. 『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신라 때에는 월나산(月奈山), ..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5.30
순천 팔마비(전라남도 유형문화재76호) 비석은 현재 영동 우리은행(구 승주군청) 앞 도로변에 위치하고 있다. 비의 전면에는 팔마비八馬碑라는 글자가 양각되어 있으며, 비의 후면에는 팔마비의 건립내역을 적은 내용이 음각되어 있으나 마모되어 내용 판독이 힘들다. 이 비의 건립 배경에 대해서는『고려사』와 『신증동국여..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5.18
순천 향림사 동종(전라남도 유형문화재287호) 순천시 석현동 소재의 향림사 대웅전에 소장되어 있다. 순천 선적사(順天善積寺)에서 제작된 것으로 언제 이곳으로 옮겨졌는지는 알 수 없으나, 향림사와 선적사와 관련은 선암사 중수비(1703년)의 기록을 통해 추정해 볼 수 있다. 중수비에는 향림사와 선적사가 선암사의 말사 였다는 것..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5.18
순천 향림사 삼층석탑(전라남도 유형문화재116호) 향림사 대웅전 앞마당에 동서로 나란히 서 있는 2기의 석탑이다. 두 탑 모두 기단(基壇)을 1층으로 두어 전체의 무게를 버티도록 하고, 그 위로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과 탑신부의 각 몸돌은 4면마다 기둥을 본떠 새겼는데, 기단은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조각을 두고 몸..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5.18
순천 낙안읍성 노거수(전라남도기념물133호) 2 노인회관 뒤 은행나무 은행나무 팻말 부착이 좀... 노인회관 입구의 배롱나무. 나무가지 사이에 돌맹이를 끼워 시집보낸다나 했는데...이 배롱나무는 물건을 보관하는 창고가 되었네요.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3,01330000,36&queryText=((V_..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5.17
순천 낙안읍성노거수(전라남도 기념물133호) 1 승주 낙안성내 노거수들은 낙안읍성 성벽과 성안에 심어진 나무들로 은행나무 3그루, 팽나무 6그루, 푸조나무 3그루, 개서어나무 2그루, 느티나무 1그루 등 모두 15그루가 있다. 객사 뒷편의 길이 약 150m에 이르는 성벽에는 팽나무 5그루, 푸조나무 2그루, 개서어나무 2그루, 느티나무 1그루 ..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