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 대복사 동종(전라북도 유형문화재24호) 이 종은 신라 진성여왕 7년(893)에 창건된 전라북도 남원에 있는 대복사 극락전 앞에 있다. 전체 길이 99㎝, 입 지름 58㎝이며, 고리 역할을 하는 쌍용이 조각된 용뉴의 높이는 19㎝이다. 종의 어깨에 꽃잎을 세워서 장식하는 고려 종의 모습을 보이며, 55개의 각 꽃잎마다 소형좌상인 화불(化..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6.10
남원 심경암 석불좌상(전라북도 유형문화재46호) 전라북도 남원에 있는 용담사(龍潭寺) 부근의 심경암에 모셔진 석불로 연꽃잎이 새겨진 대좌(臺座) 위에 앉아 있다. 얼굴은 심하게 훼손되어 잘 알아볼 수가 없지만 목에는 3줄의 주름이 뚜렷하게 표현되었다. 왼쪽 어깨에만 걸쳐 입은 옷은 배부분에서 곡선을 그리며 무릎까지 흘러내렸..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6.03
남원 용담사 칠층석탑(전라북도 유형문화재11호) 용담사는 백제 성왕 때 창건하였다고 전하나, 통일신라 후기의 승려인 도선국사와 관련된 전설이 전해지고, 이곳에서 발견된 유물들을 볼 때에 통일신라 후기에 창건된 사찰로 보인다. 전설에 의하면 절이 세워지기 전에 근방에 있는 용담천에서 이무기가 나타나 사람들을 괴롭혔는데, ..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6.03
남원 용주암석조여래입상(전라북도 유형문화재217호)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17호로 지정된 용주암 석조여래입상은 통일신라말~고려초에 조성된 광배포함 전체높이 243cm, 불상높이 205cm, 두부높이 75cm, 어깨폭 90cm 내외이며, 광배 최대폭 150cm, 좌대폭은 101cm(상단부)~130cm(하단부) 내외 규모의 전형적인 남원지역 불상양식으로 확인된다. 화강..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6.02
남원 세전리석불입상(전라북도 유형문화재120호) 전라북도 남원시 송동면 세전리 뒷산에서 발굴된 불상으로, 전체 높이는 2.7m이다. 다른 석불을 보면 바위나 암벽에 부처를 새기는 것이 보통인데, 이 석불은 별도의 돌에 새긴 독특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화강암으로 만들었으며, 연꽃무늬가 새겨진 2중의 대좌(臺座) 위에 서 있다. 양 손..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6.02
남원 지당리석불입상(전라북도 유형문화재44호) 하나의 돌에 광배(光背)·불신(佛身)·대좌(臺座)를 새긴 불상으로 발 아래 부분은 땅속에 묻혀있다. 현재 높이는 3.63m이지만 묻혀있는 부분을 감안하면 4m가 넘는 커다란 불상일 것으로 추정된다. 민머리 위에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높이 솟아 있으며, 귀가 어깨까지 길게 늘어져 있다. ..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5.31
남원 낙동리석조여래입상(전라북도 유형문화재47호) 전라북도 남원의 낙동리 절터로 추정되는 야산에 위치하고 있는데, 무릎 아래가 묻혀 있던 것을 근래에 발굴하였다. 불상이 놓인 대좌(臺座)의 하대석에서 광배 끝까지의 높이는 2.4m이다. 민머리 위에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큼직하고, 얼굴은 마멸이 심해 알아보기 힘들지만 온유한 인..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5.31
남원 대곡리 암각화(전라북도 유형문화재163호) 암각화란 선사시대 사람들이 바위나 동굴벽에 기호나 물건, 동물 등의 그림을 새겨놓은 것을 말하는데, 주로 농사의 풍요와 생산의 의미를 지니는 주술행위의 결과물로 보인다. 대곡리암각화는 봉황대로 불리는 구릉의 정상 부근 암벽에 새긴 것으로 호남지방에서 유일한 선사시대의 암..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5.31
익산 숭림사영원전지장보상좌상및권속(전라북도 유형문화재189호) 숭림사의 영원전에 모셔져 있는 지장보살상과 시왕 및 그 권속들로 모두 25구의 불상들이다. 조선 인조 12년(1634)에 만들어진 것으로 옥구군 보천사에 있던 것을 숭림사로 옮겨와 영원전에 모신 것으로 알려졌다. 나무로 만들어진 지장보살은 전체높이 104㎝, 머리 32㎝, 어깨폭 53㎝, 무릎폭..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5.13
순천 선암사 불조전(전라남도 유형문화재295호) 순천 선암사 불조전은 정면 3칸의 익공계 팔작집으로 사역내의 여러 전각 가운데에서도 비교적 이른 시기에 건립된 조선후기 건물로 건립 연대에 관한 자료가 확인되고 가구는 보조가구재를 채용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켰고, 공포는 출목익공의 중요한 사례로써 사내 다른 전각의 ..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