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 선암사 원통전(전라남도 유형문화재169호) 선암사는 백제 성왕 7년(529) 아도화상이 비로암을 지은 것에서 유래하였다는 설과 통일신라 경문왕 1년(861) 도선국사가 세워 선암사라 이름지었다는 두 가지 설이 있다. 고려 선종 5년(1088)에 의천이 새롭게 고쳐 세웠으나 조선 선조 30년(1597) 정유재란 때 대부분의 건물이 불에 타버렸다. ..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8.03
순천 선암사 중수비(전라남도 유형문화재92호) 선암사 무우전 뒷편인 북암에 오르는 길목에 자리하고 있는 비로, 정유재란으로 불에 타버린 절을 약휴대사의 노력으로 힘들게 복원한 후 그 내용을 기록해 놓은 것이다. 비는 높직한 거북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올린 모습이다. 거북받침의 머리는 용의 머리화 되었는데 ..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8.03
순천 선암사 팔상전(전라남도 유형문화재60호) 조계산에 위치한 선암사는 통일신라 헌강왕 5년(875)에 도선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사찰이다. 절의 서쪽에 높이가 10여 장(丈)이나 되고 면이 평평한 돌이 있는데 신선들이 바둑을 두던 곳이라고 하며, 절의 이름도 이곳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정유재란(1597) 때 대부분 불타 없어진 것을 숙종..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8.03
순천 선암사 일주문(전라남도 유형문화재96호) 조계산 선암사는 백제 성왕 7년(529)에 아도화상이 처음 짓고 비로암이라 하다가, 신라말 도선국사가 선암사라 하였다고 전한다. 선암사 입구에 세워져 속세와 불계의 경계역할을 하는 일주문은 언제 세웠는지 정확히 알지 못하지만 조선시대의 것으로 보인다. 일주문은 9개의 돌계단을 ..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8.03
순천 선암사 삼인당(전라남도 기념물46호) 삼인당은 긴 알모양의 연못 안에 섬이 있는 독특한 양식으로 선암사 기록에 의하면 신라 경문왕 2년(862)에 도선국사가 만든 것이라고 한다. 삼인이란 제행무상인(諸行無常印), 제법무아인(諸法無我印), 열반적정인(涅槃寂靜印)의 삼법인을 뜻하는 것으로 불교의 중심사상을 나타낸 것이..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8.03
순천 장윤정려(전라남도 기념물75호) 임진왜란 때 활약한 장윤 장군의 업적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것이다. 장군은 무과에 급제하고 사천현감을 지냈으며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이끌고 함양, 개령 등지에서 큰 공을 세우며 싸우다가 아쉽게 진주싸움에서 전사하였다. 인조 27년(1649) 지금 있는 자리에 지은 ..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8.02
순천 낙안 교촌리 은행나무(전라남도 기념물185호)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에서 유교와 불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가을 단풍이 매우 아름답고 병충해가 없으며 넓고 짙은 그늘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어 정자나무 ..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7.29
순천 낙안향교(전라남도 유형문화재112호)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조선 전기에 지어진 것으로 추측되는 낙안향교는 효종 9년(1658)에 용암동에서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그 뒤 여러 차례에 걸쳐서 수리하였다.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대성전·명륜당·동..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7.29
순천 동화사 대웅전(전라남도 유형문화재61호) 개운산에 위치한 동화사는 고려 초기 대각국사가 지은 사찰로 조선 숙종 22년(1696) 계환대사가 일부 건물을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동화사 대웅전은 석가모니 부처님을 모시는 법당으로,앞면 3칸·옆면 3칸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다. 지붕 처마..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7.28
순천 정충사(전라남도 기념물232호) 순천 정충사는 조선시대 임진왜란시 전라좌의병을 일으켜 큰 공을 세우고 임란사의 큰 획을 긋는 대첩 가운데 하나인 진주성 전투에서 순절한 인물인 장윤((張潤, 1552~1593)을 배향한 사우이며 1686년(숙종 12)에 사액을 받았다. 1868년(고종 5)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된 뒤 1907년 복설하여 복설..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