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허균·허난설헌 기념공원 소나무 숲속을 지나니 커다란 감나무가 반겨주네요 공원안에는 강원도문화재자료 59호인 허난설헌 생가터가 있음(문화재청에는 강릉 이광노가옥으로 안내) 광주 허난설헌묘(경기도 기념물90호, http://blog.daum.net/dbsqkqh/4149) *강원/기타 2011.08.19
강릉 초당동 유적(사적490호) 강릉 초당동 일대는 지표조사 및 발굴조사(1993년 이후 강릉대학교 박물관, 강원문화재연구소에서 약 27차례에 걸쳐 발굴 및 시굴조사)를 통하여 신석기, 청동기, 철기시대, 삼국시대에 이르는 주거지와 고분유적이 함께 분포하는 복합유적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2005년 5월∼6월.. *강원/명승, 사적 2011.08.19
강릉 보광리 분청자요지(강원도 기념물69호) 요지는 자기나 기와, 그릇들을 만들어 굽던 가마터를 말한다. 명주군 왕릉에서 서북쪽으로 약 1㎞ 떨어진 지점의 언덕지대로 산 기슭에서 아래쪽 계곡에 닿는 경사지의 중간지점에 있다. 강원도에서 발견된 가마터 중 유일한 분청사기 가마터로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자기소는 보현.. *강원/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8.19
강릉 하시동고분군(강원도 기념물18호) 풍호라는 호수를 끼고 바다를 바라보고 있는 얕은 언덕에 위치한 무덤이다. 무덤의 내부구조를 보면 돌덧널(석곽)을 만들고 시신을 위에서 아래로 넣은 구덩식돌덧널무덤(수혈식석곽묘)이다. 돌덧널 안에는 시신을 안치하는 으뜸덧널(주곽)과 껴묻거리(부장품)만 넣는 딸린덧널(부곽)로 .. *강원/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8.18
강릉최씨 동원군 종택(강원도 문화재자료136호) 대문간채, 안채, 사랑채, 고간채에 의해 □자 배치형식을 하고 있으며 종가집으로써의 품위를 갖추고 있다. 일제시대 대정 7년(1918)과 8년에 건축되어졌으며 근대 전통한옥으로 분류된다. 안채는 전면 6칸 측면 2칸의 규모로서 측면은 안대청이 만들어지고 대청안에 안상방이 있다. 각방들..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1.06.07
강릉 방내리삼층석탑(강원도 유형문화재36호) 신라의 옛 절터로 전하는 곳에 남아 있는 3층 석탑이다. 탑 주변으로 민가가 들어서 있어 탑 이외에 사찰이 있었던 흔적은 찾아볼 수 없다. 기단부(基壇部)는 훼손이 심하여 원래의 모습을 알 수 없고, 현재 작은 암반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이 쌓여 있다.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 모양을 새기.. *강원/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6.07
강릉 송라사 석조약사여래좌상(강원도 유형문화재129호) 송라사 석조 약사여래좌상은 1936년 강릉시 연곡면 방내리의 방현사(方縣寺) 터에서 출토되었다고 한다. 몸체에 비해 하체가 커서 안정감이 있으나, 목이 짧아 움츠린 듯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두상은 소라 모양의 머리카락과 상투 모양의 육계가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완만한 곡선으.. *강원/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6.07
강릉 연곡고분(강원도 문화재자료53호) 연곡 면사무소의 서남쪽 산봉우리에 있는 신라의 무덤이다. 뚜껑돌의 일부가 파손되었지만 비교적 보존상태가 좋은 편이다. 무덤의 구조는 정확한 학술조사가 없어 확실히 알 수 없으나, 주변에 남아있는 무덤 유적과 비교해 볼 때 4면을 돌로 벽을 쌓고 뚜껑돌을 덮은 돌방무덤(석실분)..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1.06.07
강릉 영진리고분군(강원도 기념물42호) 안내판 뒷편 산에 고분군이... 안내판 왼쪽으로 올라감. 고분군 위에 소나무가 자라고 있음. 소나무사이에 고분 입구가 보임. 모두 못찾고 2기만 보고 내려옴.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3,00420000,32&queryText=((V_KDCD=23)) <and>(((V_NO >=42)<and>(V_NO .. *강원/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6.07
강릉 방동리 무궁화(천연기념물520호) 무궁화의 일반적인 수명이 40~50년임에도 수령이 100년이 넘고 나무의 둘레가 146cm로 현재 알려진 무궁화 중 가장 굵으며 꽃이 홍단심계로 순수 재래종의 원형을 보유하고 있다. 높이 4.0m, 가슴높이 둘레(서쪽가지 0.43m 중앙가지 0.58m 동쪽가지 0.48m) 수관폭(동서 5.70m, 남북 5.90m), 근원둘레 1.46m.. *강원/천연기념물, 노거수 2011.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