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송담서원(강원도 유형문화재44호) 율곡 이이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지내는 곳으로 조선 인조 8년(1630) 이이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학산리에 석천서원을 처음 짓고 위패를 모셨다. 효종 3년(1652)에 지금의 위치로 옮겼는데, 현종 1년(1660)에는 ‘송담’이라고 쓴 현판을 임금으로부터 하사받고 옛 선현들에 대한 제사.. *강원/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9.04
강릉청학사소장청동불입상(강원도 문화재자료142호) 머리는 나발(螺髮)이고 육계(肉?)가 솟았다. 얼굴은 둥글고 귀가 상대적으로 크고 이목구비(耳目口鼻)가 거의 남지 않았으며, 어깨는 좁고 밑으로 흘러 내려졌다. 수인(手印)은 시무외?여원인(施無畏?與願印)으로 오른손이 들려있고 손 부분은 파손되었으며, 왼손은 내려져 있으며 손끝이 ..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09.04
강릉청학사소장석조관음보살상및복장유물(강원도 유형문화재146호) 이 불상은 조선시대 불교조각에서 드물게 보이는 반가좌의 보살상으로 삼존불(三尊佛)의 좌우협시(左右挾侍) 가운데 하나라 판단된다. 다소 방형에 가까운 얼굴에 머리에는 보관(寶冠)을 쓰고 보관안에는 보계가 표현되어 있다. 양 어깨에는 천의(天衣)를 걸치고, 양 손은 무릎위에 올려 .. *강원/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9.04
강릉 청학사 소장 석불좌상ㆍ광배 및 중대석(강원도 문화재자료152호) 청학사 소장 석불좌상은 목이 절단된 것을 새로 붙여 두는 등 군데군데 시멘트로 두텁게 보수하기는 하였지만, 그나마 상호와 상반신의 전면이 그대로 남겨져 있다. 특히 상호와 입가의 미소는 인근 강원도 명주지역의 신복사지, 월정사지 석조보살좌상과 유사한 모습이어서 이들과 동일..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09.04
강릉 정의윤가옥(강원도 유형문화재93호) 숲이 울창한 야산을 뒤로 하고있는 집으로 1894년에 안채를 짓고 1915년에 사랑채를 지었다. 영동지방의 전형적인 ㅁ자형 주택으로, 대문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사랑채·왼쪽에는 부속채 그리고 맞은편에는 안채가 배치되어 있다. 안채는 앞면 6칸·옆면 2칸의 一자형 집으로, 왼쪽부터 .. *강원/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9.04
강릉 심상진가옥(강원도 유형문화재79호) 경포호수에 가까이 있는 해운정과 담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는 집이다. 지은 연대를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안채는 350∼360년, 사랑채는 250∼260년 정도 된 것으로 보인다. ㅁ자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대문을 중심으로 오른쪽에 ㄱ자형의 사랑채, 왼쪽에 외양간이 있다. 마당을 가운데에 .. *강원/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9.02
강릉 해운정(보물183호) 해운정은 조선 상류주택의 별당 건물로 경포호가 멀리 바라다 보이는 곳에 있으며, 조선 중종 25년(1530)에 어촌 심언광이 강원도 관찰사로 있을 때 지은 것으로 전한다. 심언광 선생은 조선 중종 2년(1507) 진사가 된 뒤, 여러 벼슬을 두루 거친 분으로 문장에도 뛰어났다. 이 건물은 3단으로 .. *강원/국보,보물 2012.09.02
강릉 선교장(중요민속문화재5호) 1 조선시대 사대부의 살림집이다. 전주사람인 이내번이 이곳으로 이주하면서 지은 집으로, ‘선교장(船橋莊)’이라는 이름도 '집터가 뱃머리를 연상케 한다'고 하여 붙였다고 한다. 안채·사랑채·행랑채·별당·정자 등 민가로서는 거의 모자람이 없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1700년 이전에.. *강원/중요-시도 민속문화재 2012.09.02
강릉 선교장 활래정(중요민속문화재5-4호) 열화당을 세운 다음 해인 순조16년(1816)에 이후(李?: 1773~1832)가 건립하였는데 현재 건물은 이후의 증손 이근우(李根宇,鏡農)가 고종43년(1906)에 중건하였다. 잘 자란 소나무 숲이 정자의 배경이 되고 있어 경관을 아름답게 꾸미고 있다. ※ 위 문화재는 일반적으로 관람이 가능하나, 소유주.. *강원/중요-시도 민속문화재 2012.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