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선교장 동별당(중요민속문화재5-3호) 강릉 선교장의 별당 건물로 주인이 주로 생활하던 공간이며, 안채 오른쪽에 있다. 안채보다 한단 낮은 위치에 있는 동별당은 ㄱ자형의 평면을 갖추고 있다. 가운데 대청을 중심으로 공간을 구성하였다. ※ 위 문화재는 일반적으로 관람이 가능하나, 소유주 등의 개인적 사정으로 관람이 .. *강원/중요-시도 민속문화재 2012.09.02
강릉 선교장 안채(중요민속문화재5-2호) 강릉 선교장의 안채는 넓은 대청을 중심에 두고 안방과 건넌방을 배열하였다. 당당한 규모의 건물로 높은 기단 위에 자리잡고 있다. ※ 위 문화재는 일반적으로 관람이 가능하나, 소유주 등의 개인적 사정으로 관람이 제한될 수도 있습니다. 안채는 이집 보다 높은 기단 위에 자리잡고 있.. *강원/중요-시도 민속문화재 2012.09.02
강릉 선교장 열화당(중요민속문화재5-1호) 강릉 선교장의 사랑채로 조선 순조 15년(1815)에 오은 처사 이후(李厚)가 지었다. 높은 댓돌 위에 자리하고 있어 층층다리를 올라서야 들어설 수 있다. 건물 앞쪽에는 동판을 너와처럼 이은 차양시설을 두어 햇빛을 막을 수 있도록 하였다. ※ 위 문화재는 일반적으로 관람이 가능하나, 소유.. *강원/중요-시도 민속문화재 2012.09.02
강릉 황산사(강원도 유형문화재58호) 황산사는 충무공 최필달의 위패를 모신 사당으로 1900년대 초에 문중과 유림이 논의하여 짓게 되었다. 고려 개국공신 중 한 사람으로 강릉 최씨의 시조인 충무공은, 그 당시의 학문을 바로 세우고 예를 가르친 문무를 겸한 학자로서 ‘해동부자(海東父子)’라고 불렸다. 황산사는 앞면 3칸.. *강원/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9.02
강릉 남진용가옥(강원도 문화재자료60호) 강릉시에서 남서쪽 방향으로 2㎞쯤 떨어진 곳에 자리잡고 있는 집이다. ‘찰방집’으로도 불리는데 원래 강릉 김씨가 대를 물려 살다가 찰방이라는 벼슬을 지낸 남석이 이곳으로 이사하면서 그의 후손들이 살았다고 하며, 1992년에 현 소유자로 바뀌었다. 계단을 올라 행랑채 중앙의 솟을..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09.01
강릉최대석가옥(강원도 유형문화재81호) 집 뒤의 소나무 숲이 매우 인상적인 집으로, 외부 공간의 구획이 매우 세련되었고 대지면적도 넓직하다. 집을 지은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동쪽 헛간기와에 ‘강희 30년’(1691)·사랑채기와에 ‘가경 9년’(1804)이라는 기록이 발견되어, 19세기 초에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대문간채.. *강원/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9.01
강릉 오봉서원(강원도 유형문화재45호) 조선 명종 11년(1556) 강릉부사 함헌이 사신으로 중국에 갔다가 오도자가 그린 공자의 초상화를 가지고 돌아와 명종 16년(1561)에 처음 세웠다. 그 후 정조 6년(1782)에는 주자, 순조 6년(1806)에는 송시열을 함께 모시면서 선현에 대한 제사와 지방의 교육을 담당하게 되었다. 흥선대원군의 서원.. *강원/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8.29
강릉 보광리석조여래좌상(강원도 유형문화재111호) 현재 이름을 알 수 없는 절터에 세워져 있는데, 현재의 자리가 원래의 자리는 아니고 출토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몸에서 나오는 빛을 표현한 광배(光背)와 부처가 앉은 자리인 대좌(臺座)를 모두 갖추고 있다. 광배의 윗부분이 깨어졌고, 부분적으로 마모된 곳이 있기는 하지만 보존 상태.. *강원/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8.29
강릉 명주군왕릉(강원도 기념물12호) 신라하대의 진골 귀족으로 강릉 김씨의 시조인 김주원의 묘소이다. 그가 명주군왕으로 봉해졌기에 왕릉이라고 부른다. 태종무열왕의 둘째아들인 김인문의 5세손으로 알려졌으나, 최근 연구에 의하면 무열왕의 셋째아들인 문왕의 5세손이라고 하며, 선덕왕이 죽은 후 왕위를 계승할 사람.. *강원/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8.29
강릉 대관령옛길(명승74호) 대관령은 삼국시대부터 관련 지명이 史書에 기록된 곳으로, 대관령 옛길은 오래 전부터 영동과 영서를 잇는 교역로이자 교통로로서, 영동지역민들에게는 관문이자 강릉의 진산인 곳이다. 대관령 옛길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이래 주요 교통로의 역할뿐 아니라 이 길을 이용한 수많은 민.. *강원/명승, 사적 2012.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