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870

함평대덕리고양고분군(전라남도 문화재자료231호)

대덕리고양고분군를 찾는데 좀 힘이 들었다. 지도에 위치 표시도 좀 애매하다. 본인은 시계방향으로 갔다. 길도 매우 좁다. 결론부터 말하면 1호분은 1번, 2호분은 2번 위치에 있다. 아무리 찾아도 안보여 무작정 3번 위치에 주차하고 찾기로 했다. 머리 숲속에 안내판이 보인다. 1호분이다. 되돌아 나오면서... 2호분을 찾기 위해 4번 위치에 주차하고 되돌아 가는 중이다. 2호분은 사진 중앙쯤에 있다. 4번 위치이다. 오른쪽길로 올라간다. 풀이 우거져서 좀 그렇다. 안내판이 보인다. 뒤돌아본 모습이다. 고양 마을 서쪽에 있는 중봉(해발 134.5m)은 남동쪽으로 내려오면서 해발 99m의 산을 형성하고 점차 낮아지는데 해발 50m 정도까지는 비교적 급경사를 이루고 그 이하로는 완경사를 이루고 있다. 남동쪽으..

함평 기각리 붉가시나무 자생북한지(천연기념물110호)

사진 중앙에 붉가시나무가 보인다. 함평문화원으로 찾아간다. 사진 오른쪽에 함평문화원이 있다. 본인은 아치 안에 있는 계단으로 올라 갔다. 풀이 우거쳐 있다. 붉가시나무 나무가 보인다. 아무리 찾아도 안내판이 안보인다. 아래쪽에 안내판이 보인다. 경사가 심하다. 사진 중앙으로 내려가면 쉽다. 함평문화원 직원왈. 사진 중앙인 아치 왼쪽으로 올라 가면 된단다. 그러나 풀이... 붉가시나무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로 추위에 약해서 주로 산기슭과 계곡의 양지에서 자란다. 재질이 단단하고 잘 쪼개지지 않으며 보존성이 좋아서 가구나 선박 등을 만드는데 이용된다. 붉가시나무라는 이름은 그 목재가 붉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붉가시나무는 우리나라의 난대림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상록수로 제주도와 남쪽 해안지방에 주로 분포..

영파정(전라남도 문화재자료168호)

사진 중앙에 영파정이 보인다. 주변 도로가 넓어 주차 가능하다. 함평천에 멋있는 왕버들 두그루가 있다. 오른쪽 나무가 100년된 왕버들이다. 100년된 보호수 왕버들 세조 1년(1455) 단종의 폐위와 세조의 왕위찬탈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한 영파정 이안(1414∼?)이 자신의 호를 따 지은 건물이다. 처음 세운 시기는 1450∼1460년대로 추정한다. 그 후 영파정은 함풍 이씨 가문에서 관리해 온 것으로 보이는데 자세한 사실은 밝혀지지 않았다. 정유재란(1597) 중에 불에 타 없어진 후 영수정이란 이름으로 다시 지었으며, 1820∼1821년 사이에 군수 권복과 김상직이 현재와 같은 규모로 지었다. 그 뒤 고종 20년(1883) 크게 보수하고, 1966년 수리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규모는 앞면 3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