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청학사소장청동불입상(강원도 문화재자료142호) 머리는 나발(螺髮)이고 육계(肉?)가 솟았다. 얼굴은 둥글고 귀가 상대적으로 크고 이목구비(耳目口鼻)가 거의 남지 않았으며, 어깨는 좁고 밑으로 흘러 내려졌다. 수인(手印)은 시무외?여원인(施無畏?與願印)으로 오른손이 들려있고 손 부분은 파손되었으며, 왼손은 내려져 있으며 손끝이 ..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09.04
강릉 청학사 소장 석불좌상ㆍ광배 및 중대석(강원도 문화재자료152호) 청학사 소장 석불좌상은 목이 절단된 것을 새로 붙여 두는 등 군데군데 시멘트로 두텁게 보수하기는 하였지만, 그나마 상호와 상반신의 전면이 그대로 남겨져 있다. 특히 상호와 입가의 미소는 인근 강원도 명주지역의 신복사지, 월정사지 석조보살좌상과 유사한 모습이어서 이들과 동일..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09.04
강릉 조철현가옥(강원도 문화재자료87호) 현 소유자의 조부가 이곳으로 이주하면서 처음 지었으나, 한국전쟁 때 폭격으로 무너지고, 1953년 조규팔 씨가 새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가옥은 대문간채가 없는 ㄷ자형 구조로 안채와 사랑채로 구성되어 있다. 곳간 뒷면과 사랑채 툇마루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안채는 앞면 3칸..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09.01
강릉 남진용가옥(강원도 문화재자료60호) 강릉시에서 남서쪽 방향으로 2㎞쯤 떨어진 곳에 자리잡고 있는 집이다. ‘찰방집’으로도 불리는데 원래 강릉 김씨가 대를 물려 살다가 찰방이라는 벼슬을 지낸 남석이 이곳으로 이사하면서 그의 후손들이 살았다고 하며, 1992년에 현 소유자로 바뀌었다. 계단을 올라 행랑채 중앙의 솟을..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09.01
원주 흥법사지(강원도 문화재자료45호) 흥법사는 『고려사』에 기록된 내용으로 보아 신라 때 세워진 것을 알 수 있으며, 임진왜란 때 없어진 것으로 추측된다. 이곳에는 염거화상탑, 진공대사부도(보물 제365호), 진공대사탑비가 있었는데, 1931년 일본인들에 의해 강제로 반출되었다가 지금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1.10.08
원주 법천사지 당간지주(강원도 문화재자료20호)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설치하는 것으로, 절에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면 이곳에 깃발을 달게 되는데, 이 깃발을 거는 길다란 장대를 당간이라 하고, 당간을 양 쪽에서 지탱시켜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드물게 당간이 남아있는 예가 있으나, 대개는 두 지주만이 남아있다. 이 ..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1.10.05
원주 김제남 신도비(강원도 문화재자료21호) 신도비란 왕이나 고관 등의 평생업적을 기록하여 후세에 전하고자 그의 묘 가까이에 세워두는 것으로, 이 비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이자 선조임금의 장인이었던 김제남(1562∼1613) 선생을 기리고 있다. 선생은 선조 18년(1585) 사마시에 합격하여 관직활동을 시작하였고, 별시문과에 급제한..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1.10.05
강릉 이광노 가옥(강원도 문화재자료59호) 조선 선조 때 문신인 허엽(1517∼1580)이 살던 집으로 지은 시기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이곳은 허엽의 딸이며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시인이었던 허난설헌(1563∼1589)이 태어난 곳으로 전한다. 행랑채의 솟을대문을 지나 사랑마당을 거치면 ㅁ자형의 본채가 있다. 본채는 사랑채와 안채로 구..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1.08.19
양양향교(강원도 문화재자료105호)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고려 충혜왕(재위 1330∼1332, 1339∼1344) 때 처음 지은 것으로 보이며, 조선 인조 4년(1626) 크게 넓히고 숙종 8년(1682)에는 임천리로 옮겨 지었다. 한국전쟁으로 향교가 불타 없어지자 1952년..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1.07.27
양양 낙산사 홍련암(강원도 문화재자료 36호) 우리나라 3대 관음도량 중 하나인 낙산사는 해변에 자리잡은 특이한 구조를 갖춘 절이다. 낙산사 옆쪽에 있는 이 불전은 신라 문무왕 16년(676) 의상대사가 세웠고 광해군 12년(1619)에 고쳐 세운 기록이 남아 있으나 지금 있는 건물은 고종 6년(1869)에 고쳐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의상대사..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1.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