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 서림사지 삼층석탑(강원도 문화재자료120호) 상평초등학교 현서분교 운동장 한쪽에 서 있는 탑으로, 원래는 이곳에서 동쪽으로 약 200m 떨어진 논에 있던 것을 1965년 옆에 있는 서림사지석조비로자나불좌상(강원도문화재자료 제119호)과 함께 이곳으로 옮겨 보존하고 있다. 탑은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1.07.19
양양 서림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강원도 문화재자료119호) 현재 강원도 양양군 서면 서림리 상평초등학교 현서분교 교정에 3층석탑과 함께 보존되어 있는 불상으로, 1965년 가까운 논에서 발견되어 옮겨 놓은 것이다. 불상의 머리는 없어졌고 몸도 손상이 많은 상태이다. 두 손을 가슴에 모아 오른손으로 왼손 검지를 감싼 형태로 보아 비로자나불..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1.07.19
양양 명주사 부도군(강원도 문화재자료116호) 부도는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셔두는 곳이다. 명주사에 마련된 이 부도밭에는 모두 12기의 부도가 자리하고 있으며, 4기의 비석도 함께 남아있다. 12기의 부도 중에서 7기는 3단을 이루는 기단(基壇) 위로 탑몸돌 및 지붕돌을 갖추었는데, 사각의 바닥돌과 둥근 탑몸..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1.06.10
양양 김성래 가옥(강원도 문화재자료79호) 김해 김씨 17대 손이 살고 있는 가옥으로 현 소유자의 14대 조부가 세워 지금에 이르고 있으며, 본래 초가였던 것을 60년전 기와로 바꿨다고 한다. 안채와 사랑채로 구분되어 있는데 안채는 양양지방에 남아있는 북방계통의 집이다. 왼쪽으로 넓은 부엌을 배치하고 오른쪽으로 가운데를 갈..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1.06.09
양양 조규승 가옥(강원도 문화재자료80호) 현 소유자의 10대조가 세운 집으로 안채와 사랑채로 구분되는 ㅁ자형 평면을 가진 집이다. 집을 지을 당시에 현재 사랑채로 사용되는 건물을 먼저 짓고 그 뒤에 안채를 지은 것으로 보인다. 안채는 앞면 5칸·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1.06.08
강릉최씨 동원군 종택(강원도 문화재자료136호) 대문간채, 안채, 사랑채, 고간채에 의해 □자 배치형식을 하고 있으며 종가집으로써의 품위를 갖추고 있다. 일제시대 대정 7년(1918)과 8년에 건축되어졌으며 근대 전통한옥으로 분류된다. 안채는 전면 6칸 측면 2칸의 규모로서 측면은 안대청이 만들어지고 대청안에 안상방이 있다. 각방들..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1.06.07
강릉 연곡고분(강원도 문화재자료53호) 연곡 면사무소의 서남쪽 산봉우리에 있는 신라의 무덤이다. 뚜껑돌의 일부가 파손되었지만 비교적 보존상태가 좋은 편이다. 무덤의 구조는 정확한 학술조사가 없어 확실히 알 수 없으나, 주변에 남아있는 무덤 유적과 비교해 볼 때 4면을 돌로 벽을 쌓고 뚜껑돌을 덮은 돌방무덤(석실분)..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1.06.07
강릉 보현사 대웅전(강원도 문화재자료37호) 보현사는 신라 진덕여왕 4년(650)에 자장율사가 세운 절이다. 후에 낭원대사가 고쳐 세웠고 ‘지장선원’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대웅전은 조선 후기에 세운 건물로 규모는 앞면 3칸·옆면 3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1.04.19
강릉 굴산사지 석불좌상(강원도 문화재자료38호)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 굴산사 절터에 있는 석불좌상이다. 이 곳에 전해지는 3구의 석불 가운데 완전한 2구는 작은 암자에서 모시고 있고, 머리 부분이 없어진 1구는 우물에 있다. 석불 3구는 모두 한손이 다른 손의 검지를 감싸고 있는 손모양을 하고 있는데, 이는 비로자나불이 일..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1.04.19
강릉 산계리석탑(강원도 문화재자료43호) 탑의 기단부(基壇部)는 일부만 남아있어 원래의 구조를 알 수 없고, 현재의 기단은 새로운 돌을 끼워 만들어 놓은 것이다. 탑신부(塔身部)는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다른 돌로 만들었는데, 지붕돌은 낙수면이 밑면의 받침부분보다 훨씬 두껍고, 급한 경사가 흐른다. 1층 지붕돌은 밑면에 4단..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1.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