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원 금강산 전기철도교량(등록문화재112호) 등록문화재112호인 철원 금강산 전기철도교량을 찾아가는데는 민통선 안에 있기에 다소 어려움이 있다. 민통선 안 이길리에 사시는 분을 제2땅굴 답사시 우연히 알게되어 도움을 받았다. 토성리에서 북진하면 도창초등학교를 지나 초소가 있다. 이 초소에서 이길리 사시는 분의 전화번호..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3.06.11
철원 승일교(등록문화재26호) 철원에서 고석정으로 가다보면 463도로를 이용하는데, 고석정 가기 직전에 승일교가 있다. 1999년 8월 한탄대교가 건설되어 차량 통제되었다.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에서 '승', 김일성에서 '일'을 합쳐 승일교라는 말도 있다. 남과 북이 절반씩 공사해서 다리 모양도 다르다. 1948년 8..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3.06.08
철원 노동당사(등록문화재22호) 6.25때 많은 총탄 자욱이 곳곳에 남아 있고 많이 훼손되어 있다. 동족상쟁의 분단국가로 속상할 따름입니다. 민통선 밖에 있어 일반인도 쉽게 가볼 수 있는 곳이다. 조금 위로 올라가면 노동당사삼거리가 있는데 그 위로는 민통선 안이라 통제를 받는다. 몇 개의 등록문화재가 있어 가보려..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3.05.23
춘천 소양로 천주교회(등록문화재161호) 이 건물은 성 콜롬반 외방선교회 제임스 버클리(James Buckley) 신부가 한국전쟁 당시 인민군에게 총살된 소양성당 주임 신부 콜리어(Anthony Collier)를 기리고자 건립한 성당이다. 국내 최초로 근대적 양식을 도입한 교회 건축물인 이 성당의 평면은 당시에는 보기 드문 반원형을 기본으로 하여..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12.17
춘천문화원(등록문화재107호) 이 건물은 원래 강원도지사 관사로 건립하였으나, 1999년부터 춘천문화원으로 사용하다가 현재는 춘천시청 부속 건물로 사용하고 있다. 전면 출입구에 설치한 캐노피를 지지하는 V자모양 기둥이 독특하며, 철재 옥상 난간과 반원형 벽면, 비대칭적 공간 구성 등 근대 건축의 특성을 잘 보..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12.17
춘천 소양정(강원도 문화재자료1호) 봉의산 기슭에 자리 잡고 있는 소양정은 삼국시대에 세운 것으로, 처음에는 이요루라고 부르던 것을 조선 순종 때 부사 윤왕국이 소양정이라 고쳐 불렀다. 원래는 지금보다 아래쪽인 소양강 남안에 있었다. 조선 선조 38년(1605) 홍수로 없어진 것을 광해군 2년(1610) 부사 윤희당이 다시 짓..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12.14
춘천 죽림동 주교좌성당(등록문화재54호) 이 건물은 춘천교구를 사목하였던 성 골롬반 외방선교회 관하의 성당 건축물을 대표한다. 정면 중앙에 종탑이 있는 석조 건물로 건물의 높이와 폭에 비해 종축의 길이가 길며, 내부는 열주 없이 하나의 강당처럼 형성되어 있다. 주 출입구 아치의 중앙에는 십자가 문양을 돋을새김 한 이..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12.13
고성 건봉사 불이문(강원도 문화재자료35호) 한국전쟁 때 폐허가 된 건봉사 절터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건물이다. 불이문은 해탈문이라고도 하는데 불교에서는 번뇌의 세계에서 깨달음의 세계로 들어가는 입구를 뜻하는 문이다. 건봉사터에 남아 있는 불이문은 1920년에 세운 것이다. 불이문은 앞면 1칸·옆면 1칸 규모로, 지붕은 옆..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09.28
고성 간성향교(강원도 문화재자료104호)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간성향교는 조선 세종 2년(1420)에 지은 것으로 보이며 그 위치는 성북 용연동으로 확인된다. 이후 여러 차례에 걸쳐 옮겼고, 임진왜란으로 불타 없어진 것을 다시 지었다. 한국전쟁으..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09.27
고성 합축교(등록문화재143호) 남과북이 건설한 시기는 다르나 남북한이 일부씩 만든 다리로 남북한 건설공법의 차이도 살펴볼 수 있는 점에서 의미있는 다리임(출처 : 문화재청) 원래 이름은 북천교였는데 남북이 합쳐야한다는 뜻에서 합축교라 한다. 거진과 간성을 잇는 다리로 남과 북이 함께 만든다리로 건설부분..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