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석불입상(강원도 문화재자료3호) 강릉시 옥천동에 있던 것을 1992년 오죽헌 시립박물관으로 이전한 높이 1.78m의 석불상이다. 대좌(臺座)와 불신은 다른 돌로 만들었으며, 머리와 몸통은 2조각 나 있던 것을 보수하였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정수리 부분에 있는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은 마멸..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09.09
강릉 비석군(강원도 문화재자료48호) 강릉 오죽헌 시립박물관 앞뜰에 자리잡고 있는 비들로, 모두 19기에 이른다. 역대 강릉 부사 및 관찰사를 지낸 이들의 공적을 기리고 있는데, 그 중에는 임진왜란 당시 굶주림속에서도 부사의 목숨을 구해준 노비의 행적을 기리는 ‘충노 문리동 행적비’도 함께 자리하고 있어 눈길을 끈..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09.09
강릉 충노문리동행적비(강원도 문화재자료48호) 강릉 오죽헌 시립박물관 앞뜰에 자리잡고 있는 비들로, 모두 19기에 이른다. 역대 강릉 부사 및 관찰사를 지낸 이들의 공적을 기리고 있는데, 그 중에는 임진왜란 당시 굶주림속에서도 부사의 목숨을 구해준 노비의 행적을 기리는 ‘충노 문리동 행적비’도 함께 자리하고 있어 눈길을 끈..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09.08
강릉 효자리비(강원도 문화재자료49호) 강릉 옥천동에 자리잡은 작은 비각안에 서 있는 비로, 조선 중종 때의 사람인 김덕장의 효행과 덕을 기리고 있다. 김덕장은 부친상을 당하여 3년간 묘곁에 움막을 짓고 살았는데, 그 때 산불이 나서 불이 묘에 까지 닿게 되자 통곡을 하며 하늘을 향해 빌었다. 그러자 갑자기 비바람이 몰..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09.08
강릉 임당동 성당(등록문화재457호) 1950년대 강원도 지역 성당 건축의 전형을 보여주는 건물로 외관의 뾰족한 종탑과 지붕 장식, 첨두형 아치 창호, 부축벽을 이용한 입면구성 및 내부의 정교한 몰딩구성 등 의장기법에서 보존가치가 높다.(출처 : 문화재청) 다음지도에 위치 표시가 약간 다른곳에 되어 있네요.(임당동 성당..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09.08
강릉 보진당(강원도 문화재자료6호) 조선 중기 권사균이 지은 것으로 조선 고종 4년(1867)에 화재로 불타버린 것을 이듬해 다시 세웠다. 앞면 4칸·옆면 3칸의 규모이며,지붕은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건물 앞면에는 정현석의 낙관이 찍힌 현판이 있으며 기둥마다 세로로 글씨가 쓰여 있다. 앞쪽 처마 위..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09.08
강릉 최상순가옥(강원도 문화재자료61호) 세운 시기를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원래 초가집이었던 것을 1940년 기와집으로 고친 것이다. 一자형 안채 부엌 앞으로 사랑채를 붙여서 ㄱ자형의 배치를 이루고 있다. 안채는 부엌과 방으로 조성된 건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안채 뒤로는 창..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09.07
강릉 금란정(강원도 문화재자료5호) 금란정은 조선 후기 선비인 김형진이 지은 집으로, 경포호가 바라보이는 경포대 북쪽 시루봉 아래에 자리잡고 있다. 주변에는 매화를 심어 학과 더불어 노닐던 곳이라 하여 매학정(梅鶴亭)이라 이름하였다. 그 뒤 주인이 바뀌어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겨 지으면서 이름을 금란정이라 고쳐 ..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09.07
강릉청학사소장청동보살입상(강원도 문화재자료143호) 이 불입상은 고려초기의 금동보살입상으로 머리 윗부분이 손상되어 보계부분을 확인할 수 없으나 상체는 裸身이고, 하체에 裙衣를 입고 있어 보살상이다. 상의 크기는 5.1㎝로 소형의 상인데 머리부분이 신체에 비해 큰 편이어서 전체적으로 4등신 정도의 비례를 보인다. 방형의 얼굴은 .. *강원/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