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백천장선생묘(경기도기념물86호) 고려시대 문신이었던 백천장 선생의 묘이다. 고려말 진사로 문과에 급제한 후 정당문학 등을 역임하고 원나라로 유학을 가서 높은 벼슬을 지냈으며, 나이가 들어 귀국한 뒤 수성백(隨城伯)에 봉해져 재상을 지냈다. 그의 묘는 최근 새롭게 단장하여 고려 후기 무덤 양식이 남아 있지 않지..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8.12
수원 고읍성(경기도 기념물93호) 읍성이란 군이나 현의 주민을 보호하고, 군사적·행정적인 기능을 함께하는 성을 말한다. 고려 때 수원에 읍성으로 쌓았으며, 조선 정조 13년(1789)에 사도세자의 무덤을 이곳으로 옮기면서 새로운 읍성을 쌓을 때까지 사용되었던 곳이다. 본래 낮은 산능성을 이용하여 계곡 아래의 평지까..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7.26
의왕 하우현성당 사제관(경기도 기념물176호) 청계산과 광교 산맥을 잇는 골짜기에 자리잡고 있는 하우현(下牛峴)성당은 서울에서 약 24㎞ 떨어져 있고 안양시와는 20리 거리로 근접해 있다. 이 곳은 옛날 동양원이라는 역원(驛院)이 있던 곳으로 현재 원터라고도 불리운다. 하우현 일대에 언제부터 교우들이 모여들어 살게 되었는지..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7.19
여주 송암 이충원영정(경기도 유형문화재167호) 이충원(1537-1605)은 전주가 본관으로 덕천군후생의 현손이며, 자는 원보, 호는 송암, 여수이고 시호는 충헌이다. 임진왜란 때는 왕을 의주까지 호종하여 1604년 호성공신 2등으로 완양부원군에 이르고 공조판서에 제수되었던 인물로 글씨에도 뛰어나 고양시 소재의 계원군 이의묘비, 고아주..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7.19
수원 팔달문 동종(경기도 유형문화재69호) 고려 1080년(문종 34) 2월, 개성에서 주조되어 수원 만의사에서 사용되다가 숙종 13년(1687) 3월, 만의사 주지승 도화가 다시 주조되었다. 정조 때 화성축성과 함께 파루용의 기능으로 전락하여 화성행궁 사거리(종로)에 종각 설치 후 이전되었으나 1911년 일제에 의해 정오 및 화재경보용으로 ..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6.28
수원 심온선생 묘(경기도 기념물53호) 심온(1375~1418)은 조선초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송, 자는 중옥이다. 조선조 제4대 세종대왕의 국구[왕비인 소헌왕후의 아버지]로 청천부원군에 봉군되었으며, 시호는 안효이다. 공은 12세에 국자감 진사시에 급제 후, 태종 11년(1411)에 황해도 관찰사를 지내고, 대사헌이 되어서는 관의 기강..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6.14
용인 문정공 조광조 묘 및 신도비(경기도 기념물169호) 주차할 곳도 마땅치 않다. 43번 도로 상현교차로 서편에 있다. 수원에서 수지방향으로 가다보면 왼편에 있다. 근거리에 조광조를 모신 심곡서원(http://blog.daum.net/dbsqkqh/4866)이 있다. 심곡서원은 주차공간이 넓다. 조광조 신도비 조광조 묘 아래에 있는 소나무 조선 중기의 문신 정암(靜庵) 조..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6.14
수원 봉녕사 불화(경기도 유형문화재152호) 탱화란 천이나 종이에 그림을 그려 족자나 액자의 형태로 만들어서 거는 불화의 한 종류이다. 봉령사 약사전 안에는 2폭의 탱화가 안치되어 있는데, 신중단에 모셔둔 신중탱화 1폭과 현왕단에 모셔둔 현왕탱화 1폭이 그것이다. 신중탱화는 가로 168㎝, 세로 178㎝의 크기로, 비단 바탕에 채..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6.14
수원 봉녕사 석조삼존불(경기도 유형문화재151호) 이 석조삼존불은 대웅보전 뒷편 언덕에서 건물을 지으려고 터를 닦던 도중에 출토되었다고 한다. 삼존불상은 본존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보살입상을 배치하고 있다. 본존불의 얼굴모습은 원만한 편이나 머리 부분이 파손되어 있고 눈, 코, 입이 마모되어 희미하다. 법의는 왼쪽 어깨에만 ..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6.14
안산 별망성지(경기도 기념물73호) 조선 초기 남양만을 거쳐 해안으로 침입하는 왜적을 막기 위하여 바닷가에 있는 두 곳의 얕은 산봉우리를 서로 연결하여 돌로 쌓아 만든 해안산성이다. 왜구의 침입이 잦은 해안 지역에 만호부가 설치되었다는 기록과 연관하여, 이곳에 수군 만호영이 있었으나 갯벌이 밀려 배의 출입이 ..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