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 둔촌이집묘역(경기도 기념물219호) 2 이집은 광주이씨의 중시조로 역사적으로 중요한 인물일 뿐만 아니라 묘역도 원형을 비교적 잘 유지하고 있다. 석물의 에술적 가치가 있는 이윤덕묘, 추모재, 재실을 보호구역 으로 포함한다.(출처 : 문화재청) 둔촌이집묘는 맨위에 있다 묘역 앞에 있는 사당 너무 어렵게 찾아 묘역에서 내..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1.11.10
성남 둔촌이집묘역(경기도 기념물219호) 1 이집은 광주이씨의 중시조로 역사적으로 중요한 인물일 뿐만 아니라 묘역도 원형을 비교적 잘 유지하고 있다. 석물의 에술적 가치가 있는 이윤덕묘, 추모재, 재실을 보호구역 으로 포함한다.(출처 : 문화재청) 둔촌이집묘는 터널 위쪽에 있어 내비로도 찾아 가기가 어렵다. 본인도 몇번이..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1.11.10
성남 한산이씨묘역(경기도 기념물116호) 경기도 성남의 영장산 전체에 걸쳐 조성되어 있는 한산 이씨의 묘역이다. 이곳은 왕이 직접 내려준 땅으로 조선 후기 이래로 오랜 시간에 걸쳐 조성되었다. 남쪽 기슭에는 봉화 현감을 지낸 한원군 이장윤(1445∼1528), 한성군 이질(1474∼1560), 이확, 이집, 이정 등의 묘가 있고, 동남쪽 기슭..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1.11.09
광주 김자수선생묘(경기도 기념물98호) 2 고려의 문신인 상촌(桑村) 김자수 선생의 묘소이다. 고려 공민왕 23년(1374)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우왕 초에 사간원의 정언이 되었다. 이때 왜구 토벌의 공로로 포상받은 조민수의 사은편지에 회답하는 교서를 지으라는 왕명을 받았으나, 조민수가 왜구와의 전투에서 도망쳐 많은 병사를 ..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1.11.09
광주 김자수선생묘(경기도 기념물98호) 1 고려의 문신인 상촌(桑村) 김자수 선생의 묘소이다. 고려 공민왕 23년(1374)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우왕 초에 사간원의 정언이 되었다. 이때 왜구 토벌의 공로로 포상받은 조민수의 사은편지에 회답하는 교서를 지으라는 왕명을 받았으나, 조민수가 왜구와의 전투에서 도망쳐 많은 병사를 ..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1.11.09
광주 김균선생묘(경기도 기념물105호) 조선의 개국공신인 김균(?∼1398) 선생의 묘이다. 고려 공민왕 9년(1360) 성균시에 합격하였으며 공양왕 때에 전법판서를 지냈다. 조선이 개국한 뒤 태조를 추대한 공로로 개국공신 3등 15명 중 제2인으로 정해져서 중추원 부사로 승진되고 익대개국공신이라는 공신이름을 받았으며, 계림군..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1.11.09
용인 채제공선생 묘(경기도 기념물17호) 조선 정조 때의 문신인 번암(樊巖) 채제공(1720∼1799) 선생의 묘소이다. 영조 19년(1743)에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참판·우의정·좌의정·영의정 등의 주요 관직을 거쳤고,『열성지장』과『국조보감』의 편찬사업에 참여하였다. 영조와 정조대에 걸친 기간 중 정치·경제·문화·사회 등 각 ..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1.10.27
용인 채제공선생뇌문비(경기도 유형문화재76호) 뇌문비는 뇌문, 즉 왕이 신하의 죽음을 애도하며 손수 그의 공적을 찬양하는 글을 적어 보낸 조문 형식의 글을 새겨놓은 비로, 이 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인 채제공(1720∼1799)의 공적을 기리고 있다. 채제공은 영조 19년(1743) 문과에 급제한 후, 암행어사를 지냈으며 도승지·병조판서·평안..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1.10.27
안성 영창대군 묘(경기도 기념물75호) 선조와 인목왕후 사이에 태어난 영창대군(1606∼1614)의 묘소이다. 선조의 14명의 아들 중 유일하게 왕비의 소생으로 선조의 특별한 총애와 소북파(小北派)의 지지를 받으며 이미 세자로 책봉된 광해군 대신 세자로 책봉될 가능성이 많았으나 선조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실현되지 못했다. 광..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1.10.05
여주 상교리고려석실묘(경기도 기념물198호) 1983년 한양대학교 박물관에서 실시된 발굴조사 결과 하부구조의 석실평면은 원형이고 연도가 있으며, 상부는 네모난 방형의 2층 기단으로 된 독특한 구조를 가진 고려시대 고분임이 밝혀졌다. 지상구조는 2층의 제단 모양으로 되어 있는데, 기단 1층의 규모는 동서가 442cm, 남북이 412cm, 높..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1.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