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노송지대(경기도 기념물19호) 1 노송지대는 지지대비가 있는 지지대고개 정상으로부터 옛 경수간 국도를 따라 노송이 생장하는 약 5km의 지대이다. 조선 정조(1776~1800)가 생부 장헌세자의 원침인 현륭원의 식목관에게 내탕금 1,000량을 하사하여 이곳에 소나무 500주와 능수버들 40주를 심게 하였다고 한다. 현재는 대부분 ..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5.23
수원축만제(서호, 경기도 기념물200호) 6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3,02000000,31&queryText=((V_KDCD=23)) <and>(((V_NO >=200)<and>(V_NO <= 200)))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5.06
수원축만제(서호, 경기도 기념물 200호) 5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3,02000000,31&queryText=((V_KDCD=23)) <and>(((V_NO >=200)<and>(V_NO <= 200)))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5.03
수원축만제(서호, 경기도 기념물 200호) 4 향미정(수원시 향토유적 1호) 옆 벚나무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3,02000000,31&queryText=((V_KDCD=23)) <and>(((V_NO >=200)<and>(V_NO <= 200)))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5.03
수원축만제(서호, 경기도 기념물 200호) 3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3,02000000,31&queryText=((V_KDCD=23)) <and>(((V_NO >=200)<and>(V_NO <= 200)))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5.03
수원축만제(서호, 경기도 기념물 200호) 2 창공을 가르며 날아다니는 새들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3,02000000,31&queryText=((V_KDCD=23)) <and>(((V_NO >=200)<and>(V_NO <= 200)))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5.03
수원축만제(서호, 경기도 기념물 200호) 1 화성의 서쪽 여기산 아래 축조한 저수지로 축만제둔의 관개시설로 만들어졌다. 정조23년(1799) 정조는 내탕금 3만 냥을 들여 축만제를 만들게 하고 수문 2곳을 갖추었다. 몽리면적은 232두락으로 화성 주변의 인공 저수지 가운데 규모가 가장 컸으며 과학 영농의 본보기 시설물이다. 만석거..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5.03
안양사 귀부(경기도 유형문화재93호) 안양사 대웅전 앞에 위치하고 있는데, 원래의 위치는 알 수 없다. 비신(碑身)과 이수(?首)는 없어지고 귀부만 전하고 있다. 여러 개의 장대석(長臺石)으로 비곽(碑廓)을 형성한 후 지대석과 귀부가 하나의 석재로 조성되어 있다. 귀부의 머리는 용의 형상인데, 뒷목이 몸체에 붙어 답답한 ..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4.12
안양 석수동 마애종(경기도 유형문화재92호) 마애종이란 암벽에 새긴 종으로, 석수동 마애종은 남서쪽을 향한 암벽에 장방형의 목조 가구(架構)와 그 안의 종을 새긴 것이다. 상단의 보(樑) 중앙에 쇠사슬을 달아 종을 걸어 둔 모양을 새겨 표현하였는데, 용뉴(龍?)와 음통(音筒)이 확연하다. 상단에는 장방형 유곽(乳廓)을 2개소에 배..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4.12
안양 중초사지 삼층석탑(경기도 유형문화재164호) 중초사터에 남아 있는 탑으로, 원래의 자리는 아니고 1960년 옛 터에 공장이 들어서면서 현재의 자리로 옮겨 세운 것이다. 탑은 전체의 무게를 받치는 기단(基壇)을 1층으로 쌓고, 그 위로 3층의 탑신(塔身)을 올렸다. 탑신부는 2·3층 몸돌이 없어진 채 지붕돌만 3개 포개져 있다. 기단과 1층..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