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 김용사 대웅전(경상북도 유형문화재453호) 김용사는 운달조사가 신라 진평왕 10년(588)에 세웠다고 전하나, 사적기에 따르면 세운 시기에 대한 기록이 없다. 조선 인조 21년(1643)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인조 27년(1649) 새로 복원하여 현재까지 이어진다. 대웅전은 17세기에 지은 것으로 보이는데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 *경상-부산-대구/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2.16
문경 근암서원소장유물(경상북도 유형문화재377호) 문화재로 지정된 것이 언제인데 아직도 문화재청에 이미지 사진, 소재지 주소도 없네요.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77호 명 칭 문경근암서원소장유물 (聞慶近巖書院所藏遺物) 분 류 수량/면적 일괄/4종 834점 지정(등록)일 2006.01.02 소 재 지 경북 문경시 시 대 소유자(소유단체) 근암서.. *경상-부산-대구/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2.16
문경 봉정리약사여래좌상 및 관세음보살입상(경상북도 유형문화재308호) 경상북도 문경시 산양면 봉서사(鳳棲寺)의 절터에 3층 석탑과 함께 서 있는 불상이다. 2구의 불상은 산의 중턱에 위치해 있는데 약사여래좌상은 큰 바위의 한면에 조각되어 있고, 관세음보살입상은 이곳에서 동남쪽으로 10m 정도 아래쪽에 위치한 작은 바위에 조각되어 있다. 관세음보살입.. *경상-부산-대구/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2.16
문경 박열의사생가지(경상북도 기념물148호) 종 목 경상북도 기념물 제148호 명 칭 박열의사생가지 (朴烈義士生家址) 분 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인물기념/ 탄생지 수량/면적 635㎡ 지정(등록)일 2004.06.28 소 재 지 경북 문경시 마성면 오천리 98 시 대 소유자(소유단체) 사단법인박열의사기념사업회 관리자(관리단체) . 상 세 문 의 경.. *경상-부산-대구/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2.09
문경 식산이만부전적(경상북도유형문화재289호)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89호 명 칭 식산이만부전적 (息山李萬敷典籍)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필사본/ 고본 수량/면적 일괄13종38책 지정(등록)일 1995.03.31 소 재 지 경북 문경시 신기동 67-7 시 대 소유자(소유단체) 이용덕 관리자(관리단체) 이용덕 상 세 문 의 경상북도 문경시 문화.. *경상-부산-대구/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2.07
문경 유곡역고문서(경상북도 유형문화재304호) 문경현의 남쪽 40리 정도에 위치하고 있는 유곡역에 관련된 문서이다. 유곡역은 조선시대 아홉 개의 간선도로 가운데 제4로와 5로가 경유하는 곳으로, 영남지역에서 서울을 잇는 주요 교통의 요충지였다. 유곡역에 딸린 속역은 18개였고, 이곳에는 종6품 찰방이 설치되어 있었다. 문서와 관.. *경상-부산-대구/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2.07
문경 신길원현감충렬비(경상북도 유형문화재145호) 문경세재 제 1관문 주위에 자리하고 있는 비로, 임진왜란 때 순국한 신길원 선생의 충절을 기리고 있다. 신길원은 선조 때에 사마시에 급제하여 진사가 된 후에 태학의 추천으로 참봉을 거쳐 문경현감이 되었다. 현감을 맡아보던 중에 임진왜란이 일어나 왜적이 공격해오자, 관군을 거느.. *경상-부산-대구/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2.02
안동 화천서원(경상북도 기념물163호) 화천서원은 도산서원 등 향촌 사림의 동의를 얻어 1786년에 건립하였다. 건립 후 겸암(謙菴) 류운룡(柳雲龍)을 주향으로 하고 동리(東籬) 김윤안(金允安)과 종손자인 졸재(拙齋) 류원지(柳元之)를 배향하고 100여 년 이상 춘추로 향사를 지내오다가 1871년 서원 철폐령에 의해 강당과 주사만 .. *경상-부산-대구/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1.26
문경 갈평리오층석탑(경상북도 유형문화재185호) 갈평출장소 내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일제시대 때 일본인들에게 빼앗겼던 것을 이웃주민들이 다시 찾아 이 곳에 옮겨 세웠다. 탑은 전체의 무게를 받치는 기단(基壇)을 1층으로 두고, 그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의 4면에는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모양을 본 떠 새.. *경상-부산-대구/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1.24
문경 황방촌유물(경상북도 유형문화재123호) 조선 전기 황희 정승의 유물로서 옥으로 된 종이누르개(옥서진) 1쌍, 산호로 된 갓끈 1종, 옥 벼루 1개. 코뿔소 뿔로 된 띠(서각대) 1개, 재산분할문서 1매(분재문서) 들이다. 황희(1363∼1452)의 호는 방촌으로, 고려 공양왕 1년(1389)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1431년부터 1449년까지 영의정이 되어 세.. *경상-부산-대구/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