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적개공신논상록권(경상북도 유형문화재13호) 공신록권은 나라에 공이 있는 인물에게 공신으로 임명하는 증서를 말한다. 이 녹권은 조선 세조 13년(1467)에 이시애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문신 손소(1433∼1484)에게 내린 적개공신논상록권이다. 손소는 세조 5년(1459)에 문과에 급제한 후 주부, 병조좌랑을 역임하였으며, 세조 13년(1467)에 길.. *경상-부산-대구/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7.19
영주 사현정(경상북도 기념물69호) 고려시대 후기 사람인 안석 선생과 그의 세 아들이 쓰던 우물이다. 밀직공 안석 선생은 호장(戶長)에 추대되었으나,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그의 세아들 축(軸)·보(輔)·집(輯)을 훌륭히 키웠는데, 이 때 함께 사용하던 우물이라 한다. 우물은 화강암을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3단 조립한 .. *경상-부산-대구/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4.18
영주 순흥 연리지송(경상북도 기념물159호) * 영주시 순흥면사무소 내에 자라고 있다. 그런데.... 영주시청 홈피에 순흥면 읍내리 314-3 순흥면사무소 내에 있는 순흥연지지송이 도기념물159호로 2007. 1. 8일에 지정되었다고 되어 있는데 문화재청에 찾아보니 없네요.(http://tour.yeongju.go.kr/open_content/cultural_heritage/province_cultural_assets/monument/uiyeunri?m=adv) 현장 안내판에도 기념물로 표기되어 있는데.... 연리지(連理枝)란 이웃하고 있는 두 나무의 가지가 자연적으로 서로 맞닿아서 인위적으로 접목을 한 것처럼 나무결이 서로 이어진 것을 말하며, 화목한 부부 또는 남녀의 애정이 깊음을 비유하기도 한다. 금슬송(琴瑟松)이라고도 불리워지고 있는 순흥의.. *경상-부산-대구/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4.16
진주 의암(경상남도 기념물235호) 의암은 논개가 왜장을 끌어안고 순국한 바위이다. 조선조 선조 26년(1593) 6월 29일, 임진왜란 제2차 진주성전투에서 진주성이 함락되고, 7만 민관군이 순절하자, 논개는 나라의 원수를 갚기 위해 왜장을 유인하여 이 바위에서 순국하였다. 이에 논개의 순국정신을 현창하기 위해 영남사람들.. *경상-부산-대구/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