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배동 삼릉(사적219호) 경주 배동 삼릉은 서남산 주차장에 주차하고 삼릉탐방지원센터에서 200여m 올라 가면 오른쪽에 있다. 주변에 있는 문화재들 경주 남산 일원(사적311호, http://blog.daum.net/dbsqkqh/5555) 경주 배동 삼릉(사적219호, http://blog.daum.net/dbsqkqh/5552) 경주 지마왕릉(사적221호, http://blog.daum.net/dbsqkqh/5525) 경주.. *경상-부산-대구/명승, 사적 2017.02.15
경주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보물626호)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가 현장 안내판에는 금굽다리접시로 되어 있다.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皇南大塚北墳 金製高杯)는 경주시 황남동 미추왕릉 지구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 무덤인 황남대총에서 발견된 굽다리 접시(고배)이다. 황남대총은 2개의 봉분이 남·북으로 표주박 모양으..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7.02.05
경주 토우장식 장경호(국보195호) 우리 나라에 토우장식 장경호(국보195호)가 2점이 있는데 하나는 국립중앙박물관(http://blog.daum.net/dbsqkqh/3000)에 있고 다른 하나는 국립경주박물관에 있다. 현장 안내판에는 이름이 토우장식긴목항아리로 되어 있다. 문화재청에 있는 이름으로 표기 했으면 한다. 토우란 흙으로 만든 인형이..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7.02.05
경주 안압지 출토 금동판 불상 일괄(보물1475호) 안압지 출토의 삼존불상 등 판불상 10점은 조각수법이 우수하고 상들의 표현이 사실적이며 입체감이 두드러진다. 양식적으로는 7세기 말 통일신라와 중국, 일본을 포함한 국제적인 조각양식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특히, 도상이나 양식면에서 일본 법륭사 헌납보물에 있는 판불들이나 법..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7.02.05
경주 감은사지 서삼층석탑 사리장엄구(보물366호) 비슷한 경주 감은사지 동삼층석탑 사리장엄구(보물1359호, http://blog.daum.net/dbsqkqh/4393 감은사지 서삼층석탑 사리장엄구(感恩寺址 西三層石塔 舍利莊嚴具)는 경상북도 월성군 감은사터에 있는 경주 감은사지 동ㆍ서 삼층석탑(국보 제112호) 가운데 서쪽에 있는 석탑을 해체·수리하면서 3층 ..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7.02.05
안동 유성룡 종가 유물(보물460호) 유물 소재지가 '경북 안동시 풍천면 종가길 69, 영모각 (일부 국학진흥원 위탁보관)'로 되어 있다. 유성룡 종가 유물(柳成龍 宗家 遺物)은 조선 중기의 문신인 서애 유성룡(1542∼1607) 선생의 종손가에 전해오는 유물들로 첫째, 유성룡 선생이 직접 쓰던 것, 둘째, 선생의 어머니에 관한 곤문..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7.01.25
안동 하회 충효당(보물414호) 조선 중기 이름난 문신이었던 서애 류성룡(1542∼1607) 선생의 집이다. 류성룡 선생은 여러 벼슬을 두루 거치고 임진왜란 때에는 영의정으로 전쟁의 어려운 상황을 이겨내는데 많은 공헌을 한 분이다. 선생이 쓴『징비록』과『서애집』은 임진왜란사 연구에 빼놓을 수 없는 귀중한 자료로..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7.01.25
안동 하회 양진당(보물306호) 입암 류중영의 호를 빌어 입암고택(立巖古宅)이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같이간 일행들의 인증샷 사진. 양진당은 겸암 류운룡(1539∼1601)의 집으로 매우 오래된 풍산 류씨 종가이다. 입암 류중영(1515∼1573)의 호를 빌어 ‘입암고택(立巖古宅)’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는데 류중영은 류운룡의 ..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7.01.25
문경 윤필암 삼층이형석탑(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95호) 문경 대승사 윤필암에 있는 사불전이다. 오른쪽 뒤로 조그만 석탑이 보인다. 등록된 문화재인줄을 몰랐다. 그래서 멀리서 촬영하고 말았다. 문경 윤필암 삼층이형석탑이다. 다음에 좀더 가까이 가 봐야겠다. 문경 대승사 윤필암 삼층이형석탑은 옥개석에 층급받침이 없이 복화반의 문양을 띠고 있는 것은 이 탑이 유일하다 할 수 있다. 고려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석탑으로 이러한 양식은 흔치 않은 예라 할 수 있다. 또한 옥개석 네 면의 귀퉁이에 풍경을 달 수 있도록 작은 홈을 만들어 화려하게 보이려 노력한 흔적이 보인다. 특히 풍경을 단 흔적이 옥개석 네 귀퉁이에 각각 2곳씩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윗면에도 구멍이 있어 각각 세 곳의 구멍을 뚫은 형태이다. 기단부는 자연 암반을 이용하였으며, 상층기단의 크기가 .. *경상-부산-대구/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7.01.24
문경 대승사 다시 찾은 문경 대승사. 규모는 작지만 볼거리가 많고 보유한 문화재도 많은 사찰이다. 문경 대승사 : http://blog.daum.net/dbsqkqh/3216 문경 대승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및 관계문서 (보물575호, http://blog.daum.net/dbsqkqh/3215) 문경 대승사 금동관음보살좌상(보물991호, http://blog.daum.net/dbsqkqh/3154) 문.. *경상-부산-대구/기타 2017.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