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 화달리 삼층석탑(보물117호) 정기룡장군 유적지인 충의사에서 찾아 가는 중이다. 상주 화달리 삼층석탑은 산아래 마을 가에 있다. 문화재청에 위치가 '상주시 사벌면 화달리 857, 417-4 '로 되어 있는데 현장 안내판에는 '사벌면 화달1길 2(사벌면 화달리 422-1)'로 되어 있다. 화달리 417-4는 탑 근처인데 화달리 857은 도로..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7.01.16
상주금흔리이부곡토성(경상북도 기념물127호) 안내판은 '사벌면 엄암리 381-6' 근처에 있다. 사벌면소재지에서 정기룡장군의 유적지인 충의사 방향으로 가다보면 오른쪽에 있다. 상주 금흔리이부곡토성은 오른쪽에 있는 길로 올라 간다. 상주 금흔리이부곡토성은 멀리 보이는 산 정상에 있다. 현장 안내판에 토성의 주소가 '사벌면 금.. *경상-부산-대구/유형문화재,기념물 2017.01.13
상주목가리석조관세음보살입상(경상북도 문화재자료 437호) 상주목가리석조관세음보살입상을 몸이 왼쪽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고, 몸은 전체적으로 비례가 안 맞는다. 한마디로 숏다리이다. 오른팔이 무릎까지 내려와 있다. 상주 목가리 석조관세음보살입상에 가는 길은 좁고 찾아 가기가 쉽지 않다. 위치는 '사벌면 목가리 산6'로 대충은 알지만 .. *경상-부산-대구/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7.01.13
문경 신길원현감충렬비(경상북도 유형문화재145호) 문화재청에 신길원현감충렬비가 문경세재 제 1관문 주위에 자리하고 있는 비로 되어 있어 민원했었는데 아직도 그대로 있네요.(http://blog.daum.net/dbsqkqh/3016) 옛길박문관 가기 직전 오른쪽에 있어요. 전면에 '현감 신후길원 충렬비'라고 암각되어 있다. 문경세재 제 1관문 주위에 자리하고 있.. *경상-부산-대구/유형문화재,기념물 2017.01.04
문경 조령원터(향토유적) 다음지도에 조령원터 위치표시가 160m 정도 북서쪽에 되어 있네요. 다음지도를 보면 조령원터 위치가 보여요. 2관문에서 1관문 방향으로 내려가고 있는 중이다. 마침 지붕을 고치고 있다. 문경 향토유적인 조령원터는 문경새재 제1관문인 주흘관에서 15분 남짓 걸어가면 오른쪽에 있다. 본.. *경상-부산-대구/기타 2017.01.01
문경 교귀정 교귀정 소나무 이 교귀정 소나무는 경상감사 교인식이 이루어진 교귀정역사와 함께한 나무로 전해지고 있다. 특히 나무의 뿌리가 교귀정 방향인 북쪽으로 뻗어 있고 줄기는 길손들이 쉬어갈 수 있도록 남쪽으로 향해 있으며, 마치 여인이 춤을 추는 듯하여 새재를 찾는 많은 사람들에게 .. *경상-부산-대구/기타 2017.01.01
문경 조령 관문(사적147호, 제3관문 조령관) 2번째 간 제3관문인 조령관(http://blog.daum.net/dbsqkqh/5479) 문경새재 과거길 영남지방과 서울간의 관문이자 군사적 요새지이다. 이곳은 고려 초부터 조령이라 불리면서 중요한 교통로로 자리잡았다. 조선 선조 2년(1592) 임진왜란 때 왜장 고니시 유끼나가가 경주에서 북상해오는 카토오 키요마.. *경상-부산-대구/명승, 사적 2017.01.01
문경 조령산불됴심표석(경상북도 문화재자료226호) 교귀정과 제2관문 사이에 있는 산불됴심(산불조심)비. 올라가다 보면 조곡폭포 가기전 오른쪽에 있다. 돌을 다듬지 않은 자연석에 ‘산불됴심’이라고 새겨져 있다. 조선 후기 영·정조 때 별장이 잡인의 통행을 단속할 때 일반서민이 쉽게 알도록 한글비를 세운 것으로 추측된다. 자연.. *경상-부산-대구/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6.12.18
문경 조령 관문(사적147호, 제2관문 조곡관) 문경세재는 3번째이지만 2관문인 조곡관에는 처음이다. 1관문인 주흘관과 3관문인 조령관은 갔었다. 3관문을 보고 2관문으로 가는 중이다. 멀리 2관문이 보인다. 영남지방과 서울간의 관문이자 군사적 요새지이다. 이곳은 고려 초부터 조령이라 불리면서 중요한 교통로로 자리잡았다. 조.. *경상-부산-대구/명승, 사적 2016.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