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흥 장천재(전라남도 유형문화재72호) 천문과 지리에 밝았던 존재 위백규(1727∼1798)가 제자를 가르쳤다고 전해지는 곳으로 고려 공민왕 21년(1372)에 처음 지어졌으나, 많이 파손되어 조선 고종 때(1870년경) 다시 지어져 오늘에 이르고 있다. ㄷ자형의 구조를 하고 있는 이 건물은 앞면 5칸·옆면 4칸 규모로, 지붕 옆면이 여덟 ..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4.12
장흥 방촌리지석묘군(전라남도 기념물134호)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권력을 가진 지배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4개의 받침돌을 세워 돌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 놓은 탁자식과, 땅 속에 돌방을 만들고 작은 ..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4.12
장흥 월송리 백자요지(전라남도 기념물30호) 요지는 자기나 기와, 그릇들을 만들어 굽던 가마터를 말한다. 장흥 월송리에 있는 조선백자 가마터에는 같은 모양의 가마 2기가 50m 간격으로 만들어져 있다. 언제부터 이곳에서 자기가 생산되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1900년경까지는 백자가 생산되었다고 한다. 이곳에서 구워진 자기..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4.12
장흥 풍길리청자요지(전라남도 기념물221호) 종 목 : 전라남도 기념물 제221호 명 칭 : 장흥풍길리청자요지 (長興豊吉里靑瓷窯址) 분 류 : 유적건조물 / 산업생산/ 요업/ 도자기가마 수량/면적 : 일원(2필지, 3,000㎡) 지정(등록)일 : 2004.02.13 소 재 지 : 전남 장흥군 용산면 풍길리 산130외 일원 시 대 : 고려시대 소유자(소유단체) : 국유 관리..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4.01
장흥 연곡서원(전라남도 기념물18호) 노봉 민정중(1628∼1692)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민정중은 조선 후기 문신으로 호조·공조판서 등 여러 벼슬을 거쳐 우의정과 좌의정을 역임한 분이다. 숙종 원년(1675) 당쟁으로 장흥에 유배되었을 때 이 지방 선비들을 가르쳤는데 지금 있는 서원 자리에서 강회를 ..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3.29
장흥 반계사유물일괄(전라남도 유형문화재164호) 반계사에 모셔진 조선 선조 때의 정경달(1542∼1602)과 관련된 자료들이다. 반계사는 숙종 40년(1714)에 영광 정씨 문중이 중심이 되어 건립한 것으로,영광 정씨의 정인걸, 정경달, 정명설, 정남일 네 사람과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큰 공을 세운 이순신, 임영립을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건물..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3.28
장흥신북구석기유적(전라남도 기념물238호) 장흥 신북 구석기유적은 장흥군 장동면 북교리 신북마을이 자리한 검은둥이 언덕(해발 190~165m)의 남쪽에 있다. 신북유적의 규모는 유물이 확인된 범위를 기준하면 약 12만여㎡으로 추산되고, 유물이 들어있는 지층의 분포 범위로 보면 신북마을을 포함한 언덕 전체가 해당되어 약 30여만..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3.28
장흥 용화사약사여래좌상(전라남도 유형문화재46호) 전라남도 장흥의 야산 계곡에 있는 불상으로 어느 개인이 지은 조그마한 암자에 모셔져 있다. 1매의 화강암 석재를 가공하여 불상과 광배(光背)를 하나의 돌에 만든 석불좌상이다. 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뚜렷하며, 갸름한 얼굴과 정제된 이목구비의 표현 등에서 세련된 느..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3.28
장흥 고산사석불입상(전라남도 유형문화재161호) 고산사는 전라남도 장흥군 장평면 용강리 험준한 골짜기에 있는 사찰이다. 원래는 절터만 남아 있고 석불입상은 파손된 채 땅속에 묻혀 있었는데, 1966년 새로 지은 법당 안에 모셔놓았다. 석불 아랫부분과 광배 일부가 파손된 것을 시멘트로 보수하였다. 민머리 위에 상투 모양의 머리묶..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3.28
장흥전의상암지석불입상(전라남도 유형문화재191호) 원래 전라남도 장흥읍 제암산 중턱에 있는 의상암 절터에 있던 것인데, 1994년부터 보림사로 옮겨 모시고 있다. 몸 뒤의 광배(光背)와 목 부분에 약간의 파손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양호한 편이다. 민머리 위에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높게 표현되었고 얼굴은 계란형이다. 옷은 양 어깨를 ..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