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 금강사(전라남도 기념물91호) 인진왜란 때 큰 공을 세운 이순신(1545∼1598) 장군과 그의 휘하에서 활약한 김억추(1548∼1618) 장군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세운 사당이다. 이순신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의 성웅(聖雄)으로 전쟁을 승리로 이끈 분이다. 김억추 장군은 선조 11년(1578) 무과에 급제하고 임진왜란 때 전라도 방..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2.06
강진 해남윤씨족보목판(전라남도 유형문화재168호) 족보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일족의 그들 시조로부터 족보 편찬 당시까지의 친족계보를 기록한 것이다.『해남윤씨족보』목판은 숙종 28년(1702) 윤선도 등을 주축으로 여러 문중들이 추원당을 건립하면서 이와 함께 문중 결속과 친족간의 유대를 도모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족보에 ..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2.01
강진 윤복신도비(전라남도 기념물203호) 이 신도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행당 윤복(1512∼1577) 선생을 기리기 위해 세운 것이다. 윤복은 전남 해남에서 윤효정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조선 중종 33년(1538) 문과에 급제해 성균관 학유, 전적, 예조정랑, 사헌부 장령, 승정원 좌부승지 등을 지냈고 외직으로는 부안현감, 광주목사..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2.01
강진 백련사대웅전(전라남도 유형문화재136호) 만덕산에 위치하는 백련사는 만덕사라고도 하며, 통일신라 문성왕 1년(839)에 지은 절이다. 백련사 대웅전은 신라시대에 창건했다고 전해지며, 안에는 석가모니불상이 모셔져 있다. 앞면 3칸·옆면 3칸의 규모이며, 지붕을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2.01
강진 백련사원구형부도(전라남도 유형문화재223호) 백련사 한켠에 자리하고 있는 사리탑으로, 사리의 주인공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탑은 네모난 기단(基壇)위로 공 모양을 한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특히 탑신의 맨 윗부분에 연꽃무늬를 둔 구슬띠를 새겨 놓아 시선을 모은다. 이 절내에서 연대가 가장 오래된 것으로, 양식..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1.31
강진 옥련사목조여래좌상(전라남도 유형문화재188호)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만덕산에 있는 옥련사 대웅전 안에 모셔진 삼존불(三尊佛) 가운데 본존불이다. 이 불상은 강진군 대구면 용운리에 있는 정수사에서 1951년에 옮겨 온 것이라고 전해진다. 사각형의 얼굴은 고개를 앞으로 숙이고 있으며, 두툼한 옷을 걸친 어깨는 각을 이루고 있어 ..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1.31
강진 남강사주자갈필목판일괄(전라남도 유형문화재154호) 강진 향교에서 200여m 떨어진 남강사 내의 어필각에 소장되어 있는 목판이다. 본래 남강사는 우암 송시열(1607∼1689)을 추모하기 위하여 지방 유생들에 의해 순조 3년(1803)에 창건된 건물이다. 우암이 기사환국과 관련하여 제주로 유배되어 가던 중 폭풍으로 인하여 강진 성자포(지금의 남포..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1.31
강진향교(전라남도 유형문화재115호)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처음 지어진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윤탁이 대성전에 은행나무를 심도록 권장하였다는 기록과 현재의 은행나무 나이를 짐작하여 조선 전기인 1400년대로 추정된다.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1.31
강진 병영성홍교(전라남도 유형문화재129호) 이 부근은 전라도병마절도사가 머물던 곳으로 태종 17년(1417)에 설치한 군사 요충지였다. 병영과 통행하는 다리를 까치내에 만들면서 다리의 모양을 무지개 모양처럼 반달로 했기 때문에 홍교라 하였다. 병영성 홍교에는 노비와 양반집 딸 사이의 신분을 초월한 사랑과 그들의 아들이 높..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1.15
강진 수암서원(전라남도 기념물39호) 이선제·이조원·이중호·이발·이길 등 5현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필문 이선제(생몰년 미상)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호조참판과 예문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세종실록』편찬과 『고려사』의 내용 중 사실과 다른 점을 고쳐서 편찬하는 일에 적극 참여하.. *전라-광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