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가시리설오름청주한씨방묘(제주특별자치도 60-2호) 현재 도내 조성된 방형식 석곽묘는 고려말에서 조선조에 축조되었으나, 대부분 원형이 훼손되거나 이장되어 있다, 그러나 가시리 설오름 청주한씨 방묘 2기(昭威將軍韓公繼老 · 配淑夫人南平文氏)는 원형이 훼손되지 않고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하여, 제주도의 묘제사 연구에 매우 중요..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2.18
제주 천미연대(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3-3호) 연대는 횃불과 연기를 이용하여 정치·군사적으로 급한 소식을 전하던 통신수단을 말한다. 봉수대와는 기능면에서 차이가 없으나 연대는 주로 구릉이나 해변지역에 설치되었고 봉수대는 산 정상에 설치하여 낮에는 연기로 밤에는 횃불을 피워 신호를 보냈다. 천미 연대는 정의현에 소..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2.18
제주 신산환해장성(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49-10호) 배를 타고 들어오는 외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제주도에서는 해안선을 따라가며 성을 쌓았는데 이를 환해장성이라 한다. 현재 성벽이 남아있는 곳으로는 온평리, 행원리, 한동리. 동복리, 북촌리, 애월리, 고내리 등 14곳이 있다. 김상헌이 지은 『남사록』에는 환해장성을 일러 ‘탐라의 ..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2.18
제주 말등포연대(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3-1호) 연대는 횃불과 연기를 이용하여 정치 ·군사적으로 급한 소식을 전하던 통신수단을 말한다. 봉수대와는 기능면에서 차이가 없으나 연대는 주로 구릉이나 해변지역에 설치되었다. 낮에는 연기로 밤에는 횃불을 피워 신호를 보냈다. 말등포연대는 제주대 안 38개의 연대 가운데 원래의 모..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2.18
제주 혼인지(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17호) 혼인지는 탐라(지금의 제주)의 시조인 고·양·부 삼신인(三神人)이 지금의 온평리 바닷가에 떠밀려 온 나무상자 속에서 나온 벽랑국의 세 공주를 각각 맞이하여 혼인을 올렸다는 조그마한 연못이다. 삼신인은 수렵생활을 하고 가죽옷을 입고 고기를 먹으며 살다가, 나무상자 속에서 나..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2.18
제주 온평환해장성(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49-9호)-4지점 배를 타고 들어오는 외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제주도에서는 해안선을 따라가며 성을 쌓았는데 이를 환해장성이라 한다. 현재 성벽이 남아있는 곳으로는 온평리, 행원리, 한동리. 동복리, 북촌리, 애월리, 고내리 등 14곳이 있다. 김상헌이 지은 『남사록』에는 환해장성을 일러 ‘탐라의 ..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2.18
제주 온평환해장성(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49-9호)-1지점 온평환해장성-1지점 배를 타고 들어오는 외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제주도에서는 해안선을 따라가며 성을 쌓았는데 이를 환해장성이라 한다. 현재 성벽이 남아있는 곳으로는 온평리, 행원리, 한동리. 동복리, 북촌리, 애월리, 고내리 등 14곳이 있다. 김상헌이 지은 『남사록』에는 환해장..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2.18
제주 온평환해장성(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49-9호)-2지점 온평환해장성-2지점 배를 타고 들어오는 외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제주도에서는 해안선을 따라가며 성을 쌓았는데 이를 환해장성이라 한다. 현재 성벽이 남아있는 곳으로는 온평리, 행원리, 한동리. 동복리, 북촌리, 애월리, 고내리 등 14곳이 있다. 김상헌이 지은 『남사록』에는 환해장..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2.18
제주 협자연대(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3-2호) 연대란 옛 군사적 통신수단으로 적의 침입이나 위급한 일이 일어났을 때, 낮에는 연기를 피우고 밤에는 횃불을 사용하여 인근 마을이나 군대가 있는 곳에 빠르게 연락하던 시설이다. 봉수대와 차이점이 있다면 연대는 해변 가까운 높은 지대에 설치하는 반면 봉수대는 산 정상에 위치한..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2.18
제주 수산진성(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62호) 수산진은 조선시대 제주의 대표적인 방어유적으로 3성(三城) 9진(九鎭)에 속하며 정의현 관할이었다. 이 성은 세종21년(1439) 목사 한승순에 의해 처음으로 축성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목사 이경록에 의하여 성산으로 잠시 이설되기도 했다. 선조 32년(1599) 목사 성윤문에 의하여 다시 복원되..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