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서귀진지(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55호) 서귀진은 탐라십경(耽羅十景)의 하나로서, 조선시대 제주의 대표적인 방어유적으로 3성(三城) 9진(九鎭)에 속하며 정의현 관할이었다. 서귀진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세종대왕실록』(1439. 2. 4) '서귀방호소에는 성곽이 없다고 하여 성을 쌓도록 요청하니, 허락하였다'는 기록으로 보아 최..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1.14
제주 선덕사소장 갑인자복각묘법연화경 권1~2(제주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19-3호) 우리나라는 고려중기 이후로부터 금속활자 인쇄기술이 매우 발달되었던 사례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갑인자는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계미자와 경자자 다음에 세 번째로 세종 16(1434) 갑인년에 구리(銅)를 주성분으로 주조된 금속활자이다. 특히 세종대의 고도의 ..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1.14
제주 선덕사소장 화암사판묘법연화경 권4~7(제주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19-2호) 영실 영원사 오백나한전에 소장되어 있는 「선덕사 소장 화암사판 묘법연화경」의 판본은 전 7권 2책 중에 권1~3의 1책이 결본으로, 권4~7의 1책만이 해당된다. 이 책은 사육신의 한 분인 성삼문의 조부인 성달생(권 1·7)과 임효인(권2~4)· 조 절(권5~6)등이 1432~1435년까지 4년 동안 글..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1.14
제주 선덕사소장 대자암판묘법연화경 권3~4(제주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19-1호) 이 책은 사육신의 한 분인 성삼문의 조부인 성달생과 성개가 친히 써서 세종 4(1422년)년에 대자암에서 간행한 판본이다. 전 7권 3책 중에 권1~2와 권5~7의 2책은 결본으로, 권3~4의 1책만이 소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 책은 복장시에 전후의 표지가 제거되어 있으나, 오히려 책을 만든 여러..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1.14
제주 신례리지석묘2호(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26호)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권력을 가진 지배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4개의 받침돌을 세워 돌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놓은 탁자식과, 땅 속에 돌방을 만들고 작은 ..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1.03
제주 위미동백나무군락(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39호) 동백나무는 차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중국 등의 따뜻한 지방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남쪽 해안이나 섬에서 자란다. 꽃은 붉은색으로 이른봄에 피는데 매우 아름다우며 꽃이 피는 시기에 따라 춘백(春栢), 추백(秋栢), 동백(冬栢)으로 부른다. 위미 ..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1.03
제주 선광사소장목판본류등불경전적일괄(제주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21호) 선광사에 소장되어 있는 목판본류 불경전적은 59종 164책이다. 이 중 불교경전 16종, 조사어록류 33종, 의례류 10종으로 의식에 관한 10종을 제외하고는, 모두 강원에서 학승들의 교재 등으로 읽혀졌던 경전과 조사어록들이다. 이 가운데 임진왜란 이전에 개간된 전적류는 3종으로 치문경훈 ..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1.03
제주 신흥동백나무군락(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7호) 동백나무는 차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중국 등지의 따뜻한 지방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남쪽 해안이나 섬에서 자란다. 꽃은 이른 봄에 피는데 매우 아름다우며 꽃이 피는 시기에 따라 춘백(春栢), 추백(秋栢), 동백(冬栢)으로 부른다. 동백나무의 가..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1.03
제주 정의향교(제주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5호) 향교란 공자를 비롯한 여러 성현께 제사지내고, 지방 백성들의 교육과 교화를 담당했던 국립교육기관을 가리킨다. 정의향교는 조선 세종 5년(1423)에 진사리 현의 서문 밖에 처음 지었다가, 헌종 15년(1849)에 지금의 위치로 옮겨 지었다. 대부분의 향교 건물들이 남쪽을 향하는 것과는 다르..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2.20
제주 일관헌(제주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7호)-지정해제 일관헌은 1975.3.12일 도지정 유형문화재 제7호로 지정되어 관리되어 왔으나 국가지정 중요민속문화재 제188호 성읍민속마을의 중심이 되는 관아부지에 위치하고 있고, 국가지정 문화재로 지정?관리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보존전승을 위하여 도지정문화재의 지정을..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