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동일리지석묘3호(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40호) 종 목 :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2-40호 명 칭 : 동일리지석묘3호 (동일리지석묘3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지석묘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2005.10.05 소 재 지 :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동일리 1619 시 대 : 소유자(소유단체) : 사유 관리자(관리단체) : 사유 상 세 문 의 : 제주도..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4.02
제주 동일리지석묘1호(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38호) 종 목 :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2-38호 명 칭 : 동일리지석묘1호 (동일리지석묘1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지석묘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2005.10.05 소 재 지 :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동일리 1619 외 시 대 : 청동시대 소유자(소유단체) : 사유 관리자(관리단체) : 사유 상 세 ..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4.02
제주 동일리지석묘2호(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39호) 종 목 :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2-39호 명 칭 : 동일리지석묘2호 (동일리지석묘2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지석묘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2005.10.05 소 재 지 :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동일리 1607 시 대 : 소유자(소유단체) : 사유 관리자(관리단체) : 사유 상 세 문 의 : 제주도 ..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4.02
제주 신평리도요지(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58-3호) 이 유적은 ‘앞동산 노랑굴’이라고도 한다. 우리 선현들이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허벅·통개·병·장테 등의 도기를 만들었던 곳이다. 다른 지역에서는 그릇의 표면에 유약을 칠하지만, 이곳에서는 유약을 칠하지 않고 자연적으로 발색시킨다. 또한 다른 지역은 모두 토요(土窯)인 ..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3.28
제주 대정성지(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12호) 읍성이란 군이나 현의 주민을 보호하고, 군사적·행정적인 기능을 함께 하는 성을 말한다. 조선 태종 16년(1416) 제주도의 행정 구역 정비로 대정현이 설치되고, 2년 뒤에 현감 유신이 백성을 보호하기 위해 읍성을 축조했다. 이 읍성은 산과 계곡을 끼고 있는 일반적인 읍성과는 달리 집과 ..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3.27
제주 대정향교(제주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4호) 향교는 공자를 비롯한 여러 성현께 제사지내며, 지방 백성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세운 국립교육기관을 가리킨다. 대정향교는 조선 태종 16년(1416)에 세웠는데 이후 터가 좋지 않다하여 여러 차례 옮기다가 효종 4년(1653)에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겼다. 영조 48년(1772)에는 명륜당을, 헌종 원..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3.27
제주 하모리지석묘(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37호) 제주도의 고인돌은 한반도와는 달리 청동기시대가 아닌 탐라시대에 만들어진 거석문화유산으로 북방식․남방식․개석식(무지석식)으로 구분된다. 이 지석묘는 남방식고인돌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장축 방향은 북서쪽이다. 상석 아래 지석은 작은 괴석이나 할석으로 6매가 상석 ..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3.14
서산사소장목조보살좌상및복장일괄(제주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20호) 서산사 소장 목조보살좌상은 중종 29년(1534) 봄에 조성된 보살상으로 당시 증명법사는 처인(處仁), 불상 조상승(造像僧)은 향엄(香嚴)이다. 보살상의 규격은 전체 높이 58cm, 상호 높이 11.5cm, 어깨너비 25cm, 무릅 너비 33.5cm 등 이다. 이 보살상 머리에는 청동제 보관을 쓰고 있으며 상호는 원..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3.14
제주 산방연대(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3-21호) 연대는 횃불과 연기를 이용하여 정치·군사적으로 급한 소식을 전하던 통신수단을 말한다. 봉수대와는 기능면에서 차이가 없으나 연대는 주로 구릉이나 해변지역에 설치되었고 봉수대는 산 정상에 설치하여 낮에는 연기로 밤에는 횃불을 피워 신호를 보냈다. 산방 연대는 사계리 산방..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3.06
제주 화순리 지석묘(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43호) 화순리 지석묘는 지상위 석식의 전형적인 제주도식 지석묘로써 판석형 지석의 형태로 보아 원래는 상석아래 가장자리 부분을 둘러싼 지석묘 형태를 띄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제주시 용담동 6호 지석묘와 유사하다. 이러한 형식의 고인돌은 제주도 남부지역에서는 보기 드문 것으로 지석..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