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녹나무(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34호) 녹나무는 사시사철 잎이 푸른 나무로 제주도, 일본, 대만, 중국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어린 가지는 황록색이고 윤택이 있으며, 잎은 길이 6∼10㎝로 어긋난다. 어린잎은 붉은 빛이 돌아 봄부터 여름까지 전체가 특이한 붉은 빛으로 보인다. 꽃은 5월에 피는데 처음에는 백색이었다가 황색..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5.07
제주 오현단(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1호) 오현단 옆으로 올레길17코스가 지나간다. 말그대로 다섯명의 현인을 모신곳이다. 근거리에는 제주성지(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3호, http://blog.daum.net/dbsqkqh/4016)가 있다. 오현단 송시열 선생의 글씨로 하여 판관 홍경섭이 바위에 새긴 ‘증주벽립’이라는 글씨 송시열 선생의 ‘적려유허비..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5.07
제주성지(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3호) 제주성지는 종교와 관련된 성지(聖地)가 아니라 성을 쌓던 터인 성지(城址)이다. 1925~1928년까지 제주항을 개발하면서 성벽을 허물어 바다를 매립하는 골재로 사용하여 제주성의 옛자취가 사라졌다는데 누가 그런 생각을 했는지 한심하네요. 일도초등학교와 남문사거리 사이에 있다. 옆에..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5.07
제주 금산공원 금산공원에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33호인 무환자나무(http://blog.daum.net/dbsqkqh/3997)가 있는데 문화재청에 무환자나무 주소가 아라동2986번지로 되어 있다. 그런데 제주도는 도로나 하천이 넓은 지역이 같은 번지이라 찾아가기 무척 애를 먹었다. 아라동945-8로 찾아가면 될 것 같네요. 애월읍 .. *제주/공원 2013.04.25
제주 무환자나무(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33호) 무환자나무는 자식에게 화가 미치지 않는다하여 무환자나무라 하며, 제주도에서는 도욱낭 또는 더욱낭으로도 불리고 있다. 열매는 염주를 만드는데 쓰여졌기 때문에 절이 세워진 후에 심어진 것으로 보인다. 아라동 금산공원 계곡에서 자라는 무환자나무는 높이가 10m이며, 둘레가 3.4m로..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4.25
제주 영평조록나무(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1호) 조록나무는 항상 푸른나무로 제주도와 완도에서 자라고 있으며 제주도에서는 조로기낭 또는 조래기낭으로 불려지고 있다. 이 나무는 나무의 질이 촘촘하여 머리빗 등을 만드는 재료로 쓰여왔다. 영평의 조록나무는 개인 과수원 안에서 자라고 있으며 높이는 14m, 둘레는 3m로 큰 나무이다..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4.25
제주 산천단 곰솔 군(천연기념물160호) 주소는 제주시 아라1동 392-2로 찾아 가면 대략 맞을 것이다.제주시청 옆 1131번 도로를 따라 한라산 방향으로 가다보면 제주의료원 가기 전 오른쪽에 있다. 이곳에는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67호인 제주 한라산신제단(http://blog.daum.net/dbsqkqh/2873)이 있다. 가운데 하얀 팻말이 있는 곳이다. 곰.. *제주/천연기념물 2013.04.25
제주 미카형 증기기관차 304호(등록문화재414호) 1944년 제작. 이 기관차는 일본에서 제작되고 조선총독부 철도국 경성 공장에서 조립한 탄수차가 뒤에 달린 텐더식 증기기관차로 부산에서 신의주를 비롯한 전국 철도의 주요 간선에서 운행되었다. 1978년 어린이날에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기차를 볼 수 없는 섬 지역 어린이들을 위해 .. *제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3.04.24
제주 삼무공원(베두리오름) 베두리오름에 있는 삼무공원 삼무공원화장실이 특이하네요. 베두리오름을 배두리오름이라고 되어 있네요. 삼무공원에는 등록문화재 제414호인 미카형 증기기관차 304호(http://blog.daum.net/dbsqkqh/3993)가 전시되어 있다. 그런데 제주도에 웬 기차가??? 1978년 어린이날에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제주/공원 2013.04.24
제주 용담동선사무덤유적(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40호) 가운데 길게 이어진 석렬을 경계로 남북으로 나뉘어져 분포하고 있는 무덤들이다. 남쪽 무덤지역에서는 타원형의 돌덧널무덤(석곽묘) 3기가 조사되었다. 출토유물은 모두 돌덧널의 암석틈과 바닥면에서 확인되었는데, 구멍무늬토기·골아가리토기·흑색 또는 흑갈색 간토기들이 있다. ..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