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김정희선생고택(충청남도 유형문화재43호) 1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실학자이며 서예가인 추사 김정희(1786∼1856)의 옛 집이다. 안채와 사랑채 2동짜리 건물로 조선 영조(재위 1724∼1776)의 사위이자 김정희의 증조할아버지인 김한신에 의해 지어진 집이라고 한다. 건물 전체가 동서로 길게 배치되어 있는데, 안채는 서쪽에 있고 사랑채..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1.11.27
예산 화순옹주홍문(충청남도 유형문화재45호) 화순옹주의 정절을 기리는 열녀문이다. 추사 김정희의 증조할머니이자 조선 영조(재위1724∼1776)의 둘째딸인 화순옹주는 남편인 김한신이 3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자 그 슬픔을 이기지 못하여 음식을 입에 대지 않았다. 아버지 영조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슬픔을 이겨내지 못한 옹주는 ..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1.11.08
영동 영국사 석종형부도(충청북도 유형문화재184호) 영국사 내 원각국사비(보물 제534호) 뒤쪽에 서 있는 승려의 사리탑으로, 모셔진 사리의 주인공이 누구인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네모난 바닥돌 위에 마련된 기단(基壇)은 세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두 8각이다. 기단의 가운데받침돌을 제외한 아래·윗받침돌에는 각기 연꽃을..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1.10.15
영동 영국사 원구형부도(충청북도 유형문화재185호) 영국사 내의 원각국사비(보물 제534호) 뒤쪽에 자리하고 있는 사리탑으로, 사리의 주인공이 누구인지는 알수가 없다. 탑의 기단부(基壇部)는 네모난 바닥돌 위로 8각의 아래받침돌을 세우고, 역시 8각의 윗받침돌을 올려놓은 구조이다. 아래받침돌은 각 면마다 안상(眼象)을 얕게 새겼고, ..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1.10.15
영동 영국사 대웅전(충청북도 유형문화재61호) 지륵산에 위치한 이 사찰(寺刹)은 통일신라 후기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며 고려 명종때인 12세기에 원각국사에 의해 중창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高麗) 고종(高宗)때에는 금당(金堂)을 건립하고 국청사(國淸寺)라 하였다고 전한다. 그 후 공민왕(재위1351∼1374) 때 홍건적의 침략..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1.10.14
금산 보석사 대웅전(충청남도 유형문화재143호) 통일신라 헌강왕 12년(886)에 조구대사가 처음 세운 역사 깊은 절이다. 처음 세울 당시 절 앞에서 캐낸 금으로 불상을 만들었기 때문에 절 이름을 보석사라고 하였다. 그 뒤 임진왜란(1592) 때 불타버린 것을 고종(재위 1863∼1907) 때 명성황후가 다시 세웠다. 보석사 대웅전은 앞면 3칸·옆면 2..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1.10.13
당진 필경사(충청남도 기념물107호) 일제시대 문인인 심훈이 1934년 직접 설계하여 지은 집이다. 심훈은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그의 작품은 민족주의와 저항의식을 기본정신으로 하고 있다. 그는 이곳에서 1935년 농촌계몽소설로 유명한 대표작인 ‘상록수’를 썼다. 필경사는 한때 교회로 사용되기도 하였는데, 그의 장조카..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1.10.10
충주 추평리 삼층석탑(충청북도 유형문화재225호) 추평리(楸坪里) 탑평(塔坪) 마을에 위치하며 탑 주변의 경작지와 인근 민가일대까지 주초석과 많은 기와들이 나오고 있다. 또한 추평리사지의 암자로 추정되는 뒤쪽 8부 능선상에도 많은 기와가 확인되고 있다. 사명(寺名)은 밝혀진 바 없으나 자기(磁器)와 고려시대 와편(瓦片)들이 상당..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1.10.09
충주 경종대왕태실(충청북도 유형문화재6호) 태실(胎室)은 왕실에 왕자나 공주가 태어났을 때 그 태를 모시는 곳으로, 이곳은 조선 경종대왕의 태를 모시고 있었다. 대개는 태항아리 안에만 두는 것이 보통이나, 왕세자나 왕세손 등 왕위를 이어받을 사람의 태는 따로 돌방을 만들어 그 안에 넣어두게 한다. 이 태실은 8각의 낮은 받..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1.10.09
보은 법주사 석조(충청북도 유형문화재70호) 법주사의 3천 승려들의 식수를 담아두던 돌그릇이라 한다. 직사각형 모양으로, 아무런 조각을 하지 않은 간결한 모습이며, 규모는 길이 446㎝, 폭 240㎝로 제법 크다. 통일신라 성덕왕 1년(720)에 제작된 것으로 짐작된다. 신라(新羅) 성덕왕(聖德王) 19년(720)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석..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1.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