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공북루(충청남도 유형문화재37호) 공산성의 북문으로 강남과 강북을 오가는 남북통로의 길이다. 조선 선조 36년(1603)에 관찰사 유근이 쌍수산성을 고쳐 세우면서, 이 자리에 있었던 망북루를 다시 지어 공북루로 고쳐 부르고, 그 옆에 월파당을 지었다고 한다. 현종 4년(1663) 관찰사 오정위가 낡은 것을 다시 지었으..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2.17
공주 공산성연지(충청남도 기념물42호) 공산성 안에 있는 연못 중 하나이다. 전체적인 모습은 석축을 단이 지게 정연하게 쌓아 동서로 최대 길이 21m, 너비 12m 정도로 위를 넓게 하고, 아래는 최대 길이 9m, 너비 4m로 좁혀 쌓아 석탑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을 하고있다. 서남 방향에는 잘 다듬은 돌 2매씩을 길게 쌓아 10여 ..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2.17
공주 명국삼장비(충청남도 유형문화재36호) 공산성 공북루 아래에 자리한 한채의 비각안에 3기의 비가 나란히 서 있다. 이 비들은 정유재란 이듬해인 선조 31년(1598) 공주에 주둔해 있으면서 주민들을 왜군의 위협으로부터 보호해 준 명나라 세장수 이공, 임제,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고 있다. 원래 선조 32년(1599) 금강변에 처음 세웠..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2.17
공주 쌍수정 사적비(충청남도 유형문화재35호) 공산성 진남루 서쪽에 자리한 비로, 조선시대 인조임금이 이괄의 난을 피하여 공산성에 머물렀던 일을 기록하고 있다. 비는 거북모양의 받침 위에 비몸을 세우고, 목조 건축의 지붕을 모방한 머릿돌을 갖춘 조선시대 일반적인 양식이다. 비문에는 이괄의 반란, 인조가 난을 피하게 된 사..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2.17
당진 성상리산성(충청남도 기념물162호) 당진성상리산성은 면천면 성상리와 삼웅리의 경계지점인 해발 119m의 산정상부를 중심으로 하여 성내부의 경사면을 삭토한 흙으로 성벽을 축조한 산정식(山頂式)의 테뫼식 산성이다. 규모는 성주위 약 400m이며 성벽높이 외벽 약 4~5m, 내벽 약 1~1.5m이고 성벽 기저부는 1~2m이다. 축조..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2.13
서산 둔당리지석묘(충청남도 기념물63호) 지석묘는 청동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권력을 가진 지배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4개의 받침돌을 세워서 돌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 놓은 탁자식과, 땅 속에 돌방..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2.13
공주 동원리석탑(충청남도 유형문화재49호) 동원리라는 마을 위쪽의 밭에 서 있는 3층 석탑이다. 3면이 산으로 둘러싸인 탑 주변은 기와조각이 흩어져 있을 뿐 다른 유물은 없다. 탑은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렸는데, 현재 세번째 탑신은 없어졌다. 1 ·2층 기단과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 모양을 새겼다. 지붕돌은 네..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1.02
청양 정산남천리석탑(충청남도 유형문화재56호) 탑골동’또는 ‘절골동’이라 불리우는 남천리 산골짜기에는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자그만 절터가 하나 있다. 절터에서 조금 떨어진 산 기슭에 이르면 아담한 모습의 이 탑이 보이는데, 2층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려놓은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은 네 면의 가운데와 모..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1.02
공주 금학동 고분군(충청남도 기념물168호) 공주 금학동 고분군은 공주시 동남쪽에 위치한 월성산(月城山) 서남단 자락인 공주시 옥룡동―금학동을 연결하는 공주터널 상층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지역 일대는 물안주(無雁州)로 불리어져 왔다. 일제시대에 6기의 횡혈식 석실고분이 발견·조사보고 되었으며, 1960년대에는 궁륭..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1.02
공주 남혈사지(충청남도 기념물35호) 공주시 서쪽 중간에 자리잡고 있는 남혈사터는 서북쪽으로 망월산 서혈사터와 마주보고 있다. 백제 때 지은 사찰로 여겨지지만 확증할 만한 자료는 없고, 공주군지 사찰조에서만 절 이름이 전하고 있다. 탑터를 중심으로 해서 형성된 땅의 형태로 미루어 보아 동·남 방향으로 완만한 경..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