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동원리석탑(충청남도 유형문화재49호) 동원리라는 마을 위쪽의 밭에 서 있는 3층 석탑이다. 3면이 산으로 둘러싸인 탑 주변은 기와조각이 흩어져 있을 뿐 다른 유물은 없다. 탑은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렸는데, 현재 세번째 탑신은 없어졌다. 1 ·2층 기단과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 모양을 새겼다. 지붕돌은 네..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1.02
공주 금학동 고분군(충청남도 기념물168호) 공주 금학동 고분군은 공주시 동남쪽에 위치한 월성산(月城山) 서남단 자락인 공주시 옥룡동―금학동을 연결하는 공주터널 상층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지역 일대는 물안주(無雁州)로 불리어져 왔다. 일제시대에 6기의 횡혈식 석실고분이 발견·조사보고 되었으며, 1960년대에는 궁륭..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1.02
공주 남혈사지(충청남도 기념물35호) 공주시 서쪽 중간에 자리잡고 있는 남혈사터는 서북쪽으로 망월산 서혈사터와 마주보고 있다. 백제 때 지은 사찰로 여겨지지만 확증할 만한 자료는 없고, 공주군지 사찰조에서만 절 이름이 전하고 있다. 탑터를 중심으로 해서 형성된 땅의 형태로 미루어 보아 동·남 방향으로 완만한 경..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1.02
공주 우금치 전적지(사적387호) 우금치 고개는 1894년 동학농민군이 관군과 일본군의 연합군을 상대로 최후의 격전을 벌인 장소이다. 공주에서 부여로 넘어가는 견준산 기슭의 고개로 우금고개, 우금재 또는 비우금 고개라고도 부른다. 1894년 9월, 전봉준이 이끄는 동학농민군은 일본군의 경복궁 침범과 경제적 약탈을 .. *충청-대전/명승, 사적 2012.01.02
공주 주미사지(충청남도 기념물38호) 2 주미산의 중턱에 완만하게 경사진 분지 일대에 자리 잡은 절이다. 주변에는 석등의 바닥돌과 자연 암반 위의 사리공, 탑의 부재, 자연초석, 석굴이 남아 있다. 석굴의 경우 인공의 흔적이 없는 자연동굴로 규모는 4∼5명 정도가 앉을 수 있는 작은 규모이다. 주미사는 공주의 서혈사터, 남..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1.02
공주 주미사지(충청남도 기념물38호) 1 주미산의 중턱에 완만하게 경사진 분지 일대에 자리 잡은 절이다. 주변에는 석등의 바닥돌과 자연 암반 위의 사리공, 탑의 부재, 자연초석, 석굴이 남아 있다. 석굴의 경우 인공의 흔적이 없는 자연동굴로 규모는 4∼5명 정도가 앉을 수 있는 작은 규모이다. 주미사는 공주의 서혈사터, 남..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1.02
공주 숭선군 묘(충청남도 기념물6호) 조선 16대 임금인 인조의 다섯째 아들 숭선군의 묘소이다. 군의 이름은 징(徵)이며, 시호는 효경(孝敬)이다. 인조 2년(1624) 이괄(李适)의 난으로 인조를 따라 공주(公州)로 잠시 피신한 일이 있었는데, 궁으로 돌아와서도 항상 공주를 그리워하더니 숙종 16년(1690) 세상을 떠날 때 공주에 묻어..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1.02
공주 연평부원군 신도비(충청남도 유형문화재89호) 신도비란 임금이나 고관의 평생업적을 기록하여 그의 무덤 남동쪽에 세워놓은 비를 말한다. 이 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이귀(1557∼1633) 선생을 기리고 있다. 이귀는 이이·성혼의 가르침을 받았으며, 임진왜란 때에는 군인을 모집하여 나라를 구하는데 힘썼다. 광해군을 몰아내고 인조..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1.12.31
공주 석장리유적(사적334호) 공주에서 대전으로 가는 금강가에 있는 구석기시대의 유적이다. 구석기시대란 인류가 돌을 깨뜨려 도구로 사용하고 사냥이나 물고기잡이, 식물채집을 통해 생활한 문화단계를 말하는데, 인류가 태어나 1만년 전까지의 시기로 보고 있다. 찍개·긁개·주먹도끼·새기개 등의 석.. *충청-대전/명승, 사적 2011.12.26
공주 오룡리귀부(충청남도 유형문화재61호) 귀부는 비받침부분을 일컫는 말로, 대개 거북 모양을 띠고 있다. 이 귀부는 조선 제 16대 임금인 인조의 아들 숭선군의 신도비(왕이나 고관 등의 평생업적을 기록하여 그의 무덤 가까이에 세우는 비)를 세우기 위해 만든 것이나 비를 세우지 못하고 중단되어 귀부만 남은 것이다. 숭선군은..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1.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