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금남 남산영당(구 충청남도 문화재자료72호,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7호) 남이웅(1575∼1648) 선생의 영정을 모신 사당으로 광무 10년(1906) 유림들이 세웠다. 조선 선조, 광해군, 인조 때 정치가였던 선생은 평소 법을 준수하고 사치를 하지 않은 인물이었다. 광해군 5년(1613)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좌랑, 병조좌당 등 여러 벼슬을 하였으며, 병자호란 때는 소현세자가 .. *충청-대전/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03.03
공주 충현서원 소장 주자영정(충청남도 유형문화재218호) 공주 충현서원(忠賢書院)에 소장되어 있는 주자영정(朱子影幀)은 총 9점으로 오랜 기간에 걸쳐 여러 화가에 의해 제작되었다. 『충현서원지』에 실려 있는 서원의 중수기(重修記)와 사적비명(事蹟碑銘), 그리고 영정의 개모실록(改摹實錄) 등을 통해 영정의 제작 내력이 부분적으로 확인..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3.03
공주 충현서원(충청남도 문화재자료60호) 주자를 비롯하여 이존오·이목·성제원을 기리기 위한 서원이다. 주자(1130∼1200)는 중국 송나라 유학자이며 성리학의 대가로, 순수한 사고와 이성만으로 사물을 의미하는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의 체계를 확립하였다. 서기가 조선 선조 14년(1581)에 세운 충현서원은 인조 2년(1624).. *충청-대전/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03.03
공주 충현서원 유적(충청남도 기념물46호) 충현서원 유적은 공주시 계룡산 근처 반포면 소재지에 있다. 내용중 계령산이 충현서원에서 근거리에 있는 계룡산이 아닌지??? 문화재청에 민원했네요. 질의 내용 : 1. 문화재청 홈피에 있는 충현서원(충청남도 문화재자료60호) 설명내용 중 충현서원사적비가 충청남도기념물 제46호로 되..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3.03
공주 구룡사지(충청남도 기념물39호) 계룡산의 북으로 뻗은 중턱에 절터가 있으며 이 지역을 법당골, 부도골 등으로 부른다. 마을에는 많은 석조물 조각들이 흩어져 있는데, 주변에서‘구룡사’ 라고 찍힌 기와조각이 발견되어 구룡사터라고 부르고 있다. 절의 입구에는 당간지주가 서 있으며, 주춧돌과 장대석, 부도의 받침..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3.03
공주 상신리 당간지주(충청남도 유형문화재94호)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설치하는 것으로, 절에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면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 두는데, 이 당을 꽂아두는 길다란 장대를 당간이라 하고, 당간의 양쪽에 서서 이를 지탱시켜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드물게 당간이 있으나 대부분 두 기둥만 남아있다. 이 당간지..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3.03
공주 공산성(사적12호) 3 잠종냉장고 등록문화재 232호인 금강철교 공산정 산성공원 야경 사적474호인 공주 정지산유적에서 바라본 산성공원(공산성) 공주시내 금강철교와 산성공원 문화재청 : =12)(V_NO%20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0120000,34&queryText=((V_KDCD=13))%20<and>(((V.. *충청-대전/명승, 사적 2012.02.18
공주 공산성(사적12호) 2 공산성에서 내려다 본 금강. 왼쪽에 공주대학교가 보인다. 임류각 장대지는 임류각 옆에 있는 공터이다. 연지 옆 만하루와 등록문화재232호인 금강철교(http://blog.daum.net/dbsqkqh/1077)가 보인다. 만하루 옆에 연지가 있음. 문화재청 : =12)(V_NO%20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 *충청-대전/명승, 사적 2012.02.18
공주 공산성(사적12호) 1 학창시절 자주 올랐던 공주 공산성을 3회에 걸쳐 올려본다. 공산성은 백제의 수도가 공주였을 때, 공주를 지키던 백제의 산성이다. 금강변 야산의 계곡을 둘러싼 산성으로, 원래는 흙으로 쌓은 토성이었으나 조선시대에 석성으로 고쳤다. 쌓은 연대는 정확하지 않으며, 백제 때에는 웅진.. *충청-대전/명승, 사적 2012.02.18
공주 공북루(충청남도 유형문화재37호) 공산성의 북문으로 강남과 강북을 오가는 남북통로의 길이다. 조선 선조 36년(1603)에 관찰사 유근이 쌍수산성을 고쳐 세우면서, 이 자리에 있었던 망북루를 다시 지어 공북루로 고쳐 부르고, 그 옆에 월파당을 지었다고 한다. 현종 4년(1663) 관찰사 오정위가 낡은 것을 다시 지었으..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