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귀산리만경노씨삼의사생가지(충청남도 기념물23호) 노씨 3의사로 불리는 노응환과 그의 형제인 응탁, 응호의 생가가 있던 자리이다. 노응환은 조선 선조 때 의병으로 호는 수암이다. 봉사 세득의 아들이며 조헌의 문인이다.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스승 조헌을 따라 의병에 자원하여 청주에서 왜적을 격파하였다. 이어 금산싸..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3.04
공주 황새바위천주교순교유적(충청남도 기념물178호) 충청도 감영에 체포된 천주교인들을 처형한 유적지이다. 공주 감영 또는 우영(右營)에 체포된 교인들은 현 교동성당 인근에 있는 감옥에 수감되었다가 이곳에서 처형되었는데, 내포의 사도라 불리는 이존창(李存昌)도 이곳에서 참수되었으며, 치명일기에 기록된 순교자만 164인에 이른다..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3.04
공주향교(충청남도 유형문화재75호) 조선 초기에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지내며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처음 지은 정확한 연대는 알지 못하나, 원래 웅진동 송산 기슭에 있던 것을 인조 원년(1623)에 지금의 위치로 옮겨지었다고 전한다. 그 뒤 여러 차례의 보수가 있었고, 1954년 문묘..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3.04
공주 마곡사 포교당 범종(충청남도 유형문화재181호) 공주 마곡사(麻谷寺)의 포교당에 있는 조선시대의 범종이다. 마곡사는 「태화산 마곡사 사적 입안(泰華山 麻谷寺 事蹟 立案)」에 따르면 640년(신라 선덕여왕 9)에 자장율사(慈藏律師)가 창건하였고, 고려 중기에 보조국사 지눌(知訥)에 의해 중건되었다. 마곡사 포교당 범종은 신라이래의..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3.04
공주 구공주읍사무소(등록문화재443호) 이 건물은 충남금융조합연합회 회관으로 건립한 이후 공주읍사무소(1930~1985년), 공주시청(1986~1989년) 등으로 사용하였다. 2층짜리 붉은 벽돌 건물로, 현관이 돌출되어 있고 전면 중앙 부분에 원기둥이 4개 있으며, 엔타블러처(Entablature)로 장식하여 정면성을 강조하였고, 전체적으로 좌우 .. *충청-대전/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03.03
공주 제일교회(등록문화재472호) 충청지역 감리교 선교의 중심지였던 공주 선교부의 중심 역할을 한 공주 제일교회는 1931년에 건립되어 한국전쟁 당시 상당부분 파손되었지만, 보수 시 벽체, 굴뚝 등을 그대로 보존하는 등 그 흔적들이 잘 남아 교회 건축사적으로 등록가치가 있다. (출처 : 문화재청) 제민천교에서 서쪽.. *충청-대전/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03.03
공주 중학동 구선교사가옥(등록문화재233호) 이 건물은 미국 감리교회 소속 선교사 사택으로 건립하였다. 3층짜리 붉은 벽돌 건물로, 계단실과 각층 공간이 스킵플로어(skip floor) 형식으로 연결되어 있어 현관에서부터 반 층 올라가서 1층으로 진입하고, 반 층을 내려가서 지하층으로 진입하게 구성되어 있다. 20세기 초부터 현재에 이.. *충청-대전/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03.03
공주 중동성당(충청남도 기념물142호) 언덕 위에 자리한 천주교 성당으로, 서양 중세 때 유행하던 고딕건축 양식 건물이다. 평면이 약간 변형된 라틴식 십자가형으로, 외관이 붉은 벽돌로 되어있다. 중앙 현관의 꼭대기에는 높은 종탑이 있고, 현관 출입구와 창의 윗부분은 끝이 뾰쪽한 아치로 장식되어 있다. 내부는 중앙에 ..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3.03
공주 옥녀봉성(충청남도 기념물99호) 충청남도 공주시 공산성 동북쪽에 있는 해발 60m의 옥녀봉 정상을 흙으로 둘러쌓은 테뫼식 토성이다. 성의 길이는 약 870m정도이지만 대부분 붕괴되어 원형을 알 수 있는 부분이 많지 않다. 현재 남아있는 북쪽벽은 높이 2m, 안쪽의 높이 0.7m, 윗면의 너비 2m정도이다. 남쪽벽은 거의 남아있..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3.03
공주 이유태 유허지(충청남도 문화재자료390호) 이유태(李惟泰)는 선조ㆍ숙종대의 문인으로 특히 현종때 크게 활약하였다. 경주인으로 사계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이었으며 예학에 이름이 높았다. 인조때 세자사전(世子師傳)을 지내고 공조·이조참의, 승지를 지냈으며 효종 즉위 후 송시열(宋時烈), 송준길(宋浚吉) 등과 북벌계획에 .. *충청-대전/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