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 죽산리 석불입상(경기도 유형문화재97호) 경기도 안성군 죽산면 죽산산성 아래 쓰려져 있던 것을 다시 세운 석불 입상이다. 머리와 신체가 절단되었지만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둥근 연꽃대좌 위에 서 있으며, 민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큼직하다. 부피감 있는 얼굴은 온화한 인상이며, 귀는 길어 어깨까지 닿는다..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9.23
안성 죽산리 삼층석탑(경기도 유형문화재78호) 봉업사터 뒷편 비봉산 아래에 자리한 3층 석탑이다. 통일신라 후기의 승려인 혜소국사가 세운 탑으로 전하는데 지금은 이곳 동네 사람들의 소원을 비는 대상이 되고 있다. 탑은 기단부(基壇部)의 일부가 땅에 묻혀 탑의 완전한 모습은 알 수 없으나 땅위로 드러난 모습은 1층 기단(基壇) ..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9.23
안성 죽산리 당간지주(경기도 유형문화재89호)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설치하는 것으로, 절에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면 당이라는 깃발을 걸게 되는데, 이 깃발을 꽂는 길다란 장대를 당간이라 하며, 당간을 양 쪽에서 지탱해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일컫는다. 드물게 당간이 있으나 대부분 당간지주만이 남아있다. 이 당간지주..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9.23
안성 매산리석불입상(경기도 유형문화재37호) 경기도 안성에 있는 높이 3.9m의 보살상으로 머리에는 보관(寶冠)이 높이 솟아 있는데, 고려 초기 보살상에서부터 흔히 나타나는 모습이다. 얼굴은 넙적하고 눈·코·입은 비례가 맞지 않아 독특한 인상을 주고 있다. 이러한 토속적인 얼굴은 높은 관과 더불어 보살상의 시대적인 특징을 ..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9.22
이천 소고리마애여래좌상(경기도 유형문화재119호) 경기도 유형문화재119호인 이천 소고리마애여래좌상을 찾아가는데 애를 먹었다. 문화재청에 있는 주소인 소고리 91-9로 찾아가니 네비는 휘닉스스프링스CC 정문으로 안내한다. 정문에서 어떻게 왔느냐 하여 소고리마애여래좌상을 찾아 왔다하니 잘못왔다 하며 되돌아가 정문에서 우회전 ..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9.20
화성 윤계선생순절비(경기도 유형문화재85호) 병자호란 때 순절한 남양부사 윤계(1585∼1636)의 추모비이다. 윤계는 조선 인조 5년(1627)에 문과에 급제한 후 전적, 교리의 벼슬을 거쳐 남양부사를 지냈다. 병자호란 때 군비를 갖추기도 전에 청나라 군대가 기습하여 패하였으나 이에 굴하지 않고 장렬히 싸우다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쳤..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9.20
용인 민영환선생 묘(경기도 기념물18호) 1905년 을사조약 강제 체결에 항거하여 자결한 민영환(1861∼1905)을 모신 묘이다. 민영환은 고종 15년(1878)에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판서, 한성부판윤, 주미전권대사 등 여러 관직을 거쳤다. 1896년에 특명전권공사(외교관의 하나인 공사의 정식 명칭)로 임명되어 러시아·영국·독일·프랑스..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9.19
파주 자운서원(경기도 기념물45호) 율곡 이이(1536∼1584)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율곡은 조선 중기 대학자이며 정치가로 성리학의 큰 줄기를 이루던 분으로 『격몽요결』 등 많은 저서를 남겼다. 광해군 7년(1615)에 세운 이 서원은 효종 1년(1650)에 국가로부터 인정받은 사액서원으로 ‘자운’이라는 ..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9.12
안성 죽림리 삼층석탑(경기도 유형문화재179호) 이 탑은 전체 높이가 363cm이고, 지대석은 가로 171cm, 세로 140cm이다. 석탑은 단층 기단 위에 세워진 방형의 석탑으로, 중대석은 각 면을 1식으로 마감하고, 갑석은 1판석에 옥신괴임을 2단으로 둥글게 처리하였다. 1층 탑신은 2매의 석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 면에 둥근 고리(문비)를 탑몸돌..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8.21
안성 칠장사 범종(경기도 유형문화재238호) 칠장사 범종은 명문상 1782년에 신안태, 이년성,이영선,이영준,청봉이 제작하였다고 언급되어 있음. 범종의 형태와 문양배치에서 조선후기 전형적인 범종형식을 잘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조선후기 불교공예사 연구에 차지하는 비중이 큼.(출처 : 문화재청) 칠장사 대웅전 내에 있는 이 동..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