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50

양평 용문사 금동관음보살좌상(경기도 유형문화재172호)

통일신라 선덕여왕 2년(913) 대경대사가 창건한 용문사의 관음전에 모셔진 관음보살로, 청동으로 만든 뒤 금칠을 하였다. 관음보살은 현실세계에서 자비로 중생을 구제해 준다는 의미를 지닌다. 머리에는 나무로 된 화려한 보관(寶冠)을 쓰고 있으며, 리본처럼 묶은 머리가 어깨까지 내려..

중구 구)제물포구락부(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17호)

인천에 있던 외국인들의 사교모임인 제물포 구락부의 사교장으로 쓰기 위해 광무 5년(1901)에 지은 것이다. 1913년 일본제국 재향군인회 인천연합회 소속의 정방각으로 불리다가, 1934년 일본부인회, 광복직후에는 미군 장교 클럽, 1947년부터는 대한부인회 인천지회가 각각 활용하였으며, 1952..

중구 인천내동성공회성당(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51호)

인천 내동 성공회성당은 당초 1890년에 고 요한 신부에 의해 지어졌으나 한국전쟁 때 소실되었고 현재의 건물은 1956년에 중건된 것이다. 중건 당시 기초를 철근 대신 ‘H’형강을 사용하였다. 건물 형태는 지붕의 목조트러스를 제외하고, 외벽과 주요부재는 화강암으로 견고하게 쌓아올린..

중구 능인교당 신중탱화(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61호)

종 목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61호 명 칭 능인교당 신중탱화 (能仁敎堂 信衆탱화) 분 류 수량/면적 1폭 지정(등록)일 2009.03.02 소 재 지 인천 중구 시 대 일제강점기 소유자(소유단체) 조계종 제3교구 신흥사(인천포교당 능인사) 관리자(관리단체) 능인사 상 세 문 의 인천광역시 중구 문화..

중구 구)인천일본제일은행지점(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7호)

고종 광무 3년(1899)에 지은 석조건물이다. 일본인 니이노이에 다카마사가 설계한 건물로 모래, 자갈, 석회를 제외한 나머지의 모든 건축 재료를 일본에서 직접 가져와 만들었다. 현관은 반원의 곡선형으로 중앙에 만들었는데 그 위로 르네상스풍의 작은 돔을 올려서 좌우대칭으로 꾸몄다...

중구 구인천일본58은행인천지점(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19호)

일본 오오사까에 본점을 둔 제58은행의 인천지점이다. 후에 여러 은행들과 합쳐져 야스다 은행으로 바뀌었다. 광복 후 조흥은행이 인천지점으로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1958년 새로 건물을 짓고 옮겨가자 대한적십자사 경기도지사로 사용되다가 현재는 인천 중구 요식업조합에서 사용하고 ..

중구 구)인천일본18은행지점(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50호)

18은행는 1890년 준공되어 그 해 10월에 개점하였고 중앙동2가 24번지에 있으며 58은행의 바로 옆에 위치해 있으며 1954년에는 한국흥업은행으로 사용되었다. 18은행은 일본이 한국의 금융계를 지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계획되어 세워진 은행이었다. 18은행뿐 아니라 그 당시에 세워진 일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