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용주사오층석탑(경기도 유형문화재212호) 이탑은 간략화된 기단부와 탑신부의 탑신석과 옥개석 등의 양식과 치석 수법을 볼 때 고려시대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기단부 면석부에 위패형 제액을 마련한 점은 드문 예에 속한다.(출처 : 문화재청) 용주사에는 2개의 오층석탑이 있다. 하나는 매표소를 지나 왼편에 있는 효행박물관..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8.02
화성 용주사대웅보전목조삼세불좌상(경기도 유형문화재214호) 용주사 목조삼세불좌상은 전라도, 강원도 등 세지역의 대표적인 조각승이 모여 제작한 작품들로 조선 후기 불교조각사의 대미를 장식하는 불상이다.(출처 : 문화재청)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2140000,31&queryText=(`용주사`)<in>z_ti..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8.02
화성 용주사대웅전후불탱화(경기도 유형문화재16호) 탱화란 불경에 관한 그림을 천이나 종이에 그림을 그려 액자나 족자 형태로 만드는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절 내의 대웅전에 모시는 본존의 뒷벽에 자리한다. 용주사 대웅전 내의 불상 뒤에 있는 이 그림은 당시 연풍현감이던 단원 김홍도(1745∼?)가 그렸다고 하나, 그림의 하단에 기록이 ..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8.02
오산금암리지석묘군(경기도 기념물112호) 2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23,01120000,31&queryText=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4.22
오산금암리지석묘군(경기도 기념물112호) 1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권력을 가진 지배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4개의 받침돌을 세워 돌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 놓은 탁자식과, 땅 속에 돌방을 만들고 작은 ..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4.22
오산외삼미동고인돌(경기도 기념물211호) 외삼미동의 지석묘는 숲으로 둘러싸인 구릉에 위치한 2기의 고인돌에 대하여 관심이 많은 시민의 요구에 의하여 한양대 박물관장겸 경기도 문화재 위원인 김병모 교수가 현지 확인결과 청동기 시대 후기에 속하 는 유적으로 북방식과 남방식이 혼재되어 있는 희귀한 예로서, 선사시대 생..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4.22
강화 용진진(인천광역시 기념물42호) 진이란 군인이 머물러 있던 무장 성곽도시를 이른다. 용진진은 조선시대 각 진에 배치되었던 병마만호의 관리하에 있었던 곳으로, 101명의 병력이 주둔해 있었다 한다. 포좌(포를 놓는 자리) 4개소, 총좌(총을 놓는 자리) 26개소의 시설물이 있었으나 석축 대부분은 남아 있지 않다. ..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2.19
강화 양헌수 승전비(인천광역시 기념물36호) 병인양요(1866) 때 프랑스군을 물리쳐 승리를 한 양헌수(1816∼1888) 장군의 공적을 기리고 있는 비이다. 프랑스는 조선 고종 3년(1866) 10월 천주교 탄압을 구실 삼아 극동함대 소속 군함 7척으로 우리나라를 침입하였는데 당시 순무천총 양헌수 장군이 정족산성에 포수 500여 명을 매복 ..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2.18
양주 나옹선사 부도 및 석등(경기도 유형문화재50호) 회암사 경내의 지공선사 부도 아래쪽에 있는 나옹선사의 부도와 석등이다. 나옹선사는 고려 후기의 승려로 본명은 혜근이다. 오대산 상두암에 머물렀고, 공민왕에게 설법을 하였다. 회암사의 주지가 된 후 절을 중창하였고, 우왕 2년(1376)에 입적하였다. 부도는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1.21
양주 무학대사비(경기도 유형문화재51호) 회암사터에 세워져 있는 무학대사의 묘비로, 바로 뒷편에는 그의 묘탑(보물 제388호)이 함께 서 있다. 무학대사는 고려말·조선초의 이름난 승려로, 이름은 자초이고,무학은 그의 호이다. 18세에 출가하여 소지선사에게서 머리를 깎고 승려가 되었으며, 혜명국사에게서 불교의 교..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