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수 송대철제범종(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4호) 종을 매다는 부분인 용뉴는 2마리의 용이 조각되어 있는데,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마모되기는 하였지만 아직도 웅장한 분위기를 지니고 있다. 종의 몸 윗부분에는 크고 작은 명문이 새겨 있으나, 마모가 심하여 글자를 확인하기 어렵다. 종의 입 부분은 8개의 반타원형을 이루고 있다. 입..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0.17
연수 원대철제범종(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3호) 중국 범종 특유의 모습을 하고있는 높이 2.45m의 중국 원나라 범종으로 고려 충렬왕 25년(1299)에 만들었다. 종을 매다는 고리 역할을 하는 용뉴는 2마리용을 사실적으로 조각하여 살아 움직이는 것 같으며, 종의 어깨부분은 둥글고 위쪽으로는 덩굴무늬를 새겼다. 덩굴무늬 사이에는 8개의 ..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0.17
연수 관음좌상(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5호) 이름을 부르기만 해도 소원이 이루어진다는 관음보살상을 표현한 것으로 연꽃이 새겨진 대좌(臺座)위에 앉아 있다. 머리에는 구슬로 장식된 보관(寶冠)을 쓰고, 가슴에는 화려한 구슬 목걸이를 하고 있다. 왼쪽 어깨에서 흘러 내린 천의(天衣)는 땅위까지 흐르고 있으며, 오른쪽 어깨에서..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0.09
연수 목조여래좌상(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13호) 인천광역시 시립박물관에 있는 이 불상은 나무로 만들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전체적으로 단정한 자세이면서 균형잡힌 모습의 얼굴표정은 많지 않은 조선시대 목불상 중 비교적 우수한 작품이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귀는 어깨에 닿..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0.09
연수 목조보살좌상(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14호) 정확한 연대 측정은 어려우나 조선시대 불상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는 목조보살상이다. 머리에는 관(冠)을 쓰고 있고, 관 사이로 나온 머리카락은 어깨까지 길게 늘어져 있다. 얼굴은 표정이 사라져 매우 삭막해 보이며, 신체는 머리에 비해 작게 표현되어 비례가 맞지 않는다. 양 어깨..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0.09
이천어석리석불입상(경기도 유형문화재107호)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어석리 마을 한가운데 있는 이 석불은 상·하 2매의 커다란 돌로 이루어져 있다. 머리에 돌갓을 쓰고 있고 네모진 몸통 위에는 네모진 머리를 올려놓아 마치 4각의 돌기둥과 같다. 민머리의 정수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낮게 표현되어 있고, 그 위에 8각..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0.05
평택 농성(경기도 기념물74호)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안정리 마을의 북쪽 논 가운데 있는 성으로, 흙으로 쌓았다. 전체 모습은 타원형으로 둘레는 약 300m이고 높이는 4m 내·외이며, 동쪽과 서쪽에 문터가 있다. 무너진 곳의 단면을 보면 붉은색의 고운 찰흙을 층층이 다져 쌓은 흔적이 있다. 성을 쌓은 이유는 삼국시대..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0.04
평택 팽성읍객사(경기도 유형문화재137호) 팽성객사는 조선 성종 19년(1488)에 크게 지었으며, 그 후로 2번의 수리를 거쳤다. 일제시대에는 양조장으로 바뀌었다가 주택으로 사용되었는데, 1994년 해체·수리하면서 옛 모습을 되찾게 되었다. 현재는 대문간채와 본채가 남아 있다. 본채는 전체 9칸으로 가운데 3칸은 중대청이고 양 옆..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0.04
안성 기솔리석불입상(경기도 유형문화재36호) 경기도 안성에 2구의 석불이 나란히 서 있는데, 커다란 돌기둥에 불상의 전체적인 모습을 간략하게 조각한 것이다. 높이 5m나 되는 이 불상들은 아마도 1장(丈) 6척(尺)(약480㎝)의 장륙불상으로 만든 것으로 생각되는데, 그 당시 흔히 조성되던 장륙불상의 한 예로 보아도 좋을 듯하다. 안성..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0.01
안성 봉업사지(경기도 기념물189호) 이 사지는 죽산면에서 일죽으로 가는 도로를 따라가다 보면 왼편으로 넓은 뜰이 있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봉업사지의 사명(寺名)이 확인된 것은 1966년 경지정리작업 중 출토된 향완과 반자에 새겨진 명문 때문이다.향완과 반자의 발견으로 고려사에 나오는 죽주의 봉업사가 현재의 봉업..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