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 김용사명부전 목조지장삼존상 및 제상(경상북도 유형문화재385호) 문화재로 지정된 것이 언제인데 이미지 사진, 소재지 주소 등 허술하네요.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85호 명 칭 김용사명부전 목조지장삼존상 및 제상 분 류 수량/면적 21구 지정(등록)일 2006.06.29 소 재 지 경북 문경시 시 대 소유자(소유단체) 김용사 관리자(관리단체) 김용사 상 세 문.. *경상-부산-대구/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2.16
문경 김용사괘불(경상북도 유형문화재303호) 괘불은 옥외에서 법회를 행할 때에 밖에 내다 걸 수 있게 만든 걸개그림으로, 임진왜란 이후 많은 사찰이 복원되면서 괘불 제작이 활발해지기 시작하였다. 김용사 대웅전에 보존되어 있는 이 괘불은 중앙의 본존불을 화폭의 1/3을 차지할 정도로 크게 표현하였고, 그 아래쪽에 2구의 보살.. *경상-부산-대구/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2.16
문경 김룡사 영산회괘불도(보물1640호) 1703년에 수원(守源)을 비롯한 6명의 화원이 제작한 괘불도로, 오른손을 내리고 서있는 석가모니와 그를 둘러싼 많은 권속들을 질서정연하게 배치한 모습은 당시 상주, 문경 등 경상북도 지역에서 유행하던 괘불도의 형식을 잘 보여준다. 전체적으로 많은 인물들을 배치하면서도 불격(佛格..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2.12.16
문경 김용사 대웅전(경상북도 유형문화재453호) 김용사는 운달조사가 신라 진평왕 10년(588)에 세웠다고 전하나, 사적기에 따르면 세운 시기에 대한 기록이 없다. 조선 인조 21년(1643)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인조 27년(1649) 새로 복원하여 현재까지 이어진다. 대웅전은 17세기에 지은 것으로 보이는데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 *경상-부산-대구/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2.16
문경 내화리 삼층석탑(보물51호) 문경시의 깊은 산골짜기에 서 있는 규모가 작고 아담한 3층 석탑이다. 이 절터의 유래나 규모는 알 수 없으며, 발견 당시 3층 몸돌이 근처에 새로 지은 제실(帝室)의 주춧돌로 사용되고 있는 등 탑의 각 부분이 흩어져 있었다. 1960년 9월에 전부 수습하여 복원하였다. 탑은 1단의 기단(基壇)..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2.12.16
문경 근암서원소장유물(경상북도 유형문화재377호) 문화재로 지정된 것이 언제인데 아직도 문화재청에 이미지 사진, 소재지 주소도 없네요.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77호 명 칭 문경근암서원소장유물 (聞慶近巖書院所藏遺物) 분 류 수량/면적 일괄/4종 834점 지정(등록)일 2006.01.02 소 재 지 경북 문경시 시 대 소유자(소유단체) 근암서.. *경상-부산-대구/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2.16
문경 봉정리약사여래좌상 및 관세음보살입상(경상북도 유형문화재308호) 경상북도 문경시 산양면 봉서사(鳳棲寺)의 절터에 3층 석탑과 함께 서 있는 불상이다. 2구의 불상은 산의 중턱에 위치해 있는데 약사여래좌상은 큰 바위의 한면에 조각되어 있고, 관세음보살입상은 이곳에서 동남쪽으로 10m 정도 아래쪽에 위치한 작은 바위에 조각되어 있다. 관세음보살입.. *경상-부산-대구/유형문화재,기념물 2012.12.16
문경 병암정 경상북도 유형문화재308호인 문경봉정리약사여래좌상및관세음보살입상을 찾아가다가 네비가 잘못 안내하는 바람에 지나가다가 구경한 병암정. 주민에게 문경봉정리약사여래좌상및관세음보살입상을 물어 보니 잘 모른다 하고 오래 된 건물이 있으니 가보라해서 가본 건물. 봉천사 바로.. *경상-부산-대구/기타 2012.12.16
문경 봉천사 경상북도 유형문화재308호인 문경봉정리약사여래좌상및관세음보살입상을 찾아가다가 네비가 잘못 안내하는 바람에 지나가다가 구경한 사찰인데, 큰소나무 밑에는 병암정이라는 건물이 폐허가 되었네요. 주변의 소나 숲 사찰에 대한 안내가 없어 모르겠지만 위치는 좋은 듯합니다. 화초.. *경상-부산-대구/기타 2012.12.16
문경 호계 봉서리 삼층석탑 경상북도 유형문화재308호인 문경봉정리약사여래좌상및관세음보살입상 (http://blog.daum.net/dbsqkqh/3145)을 찾아가다가 내비가 잘못 안내하는 바람에 지나가다가 구경한 탑이다. 위치는 대략 '문경시 호계면 봉서리 63번지'이다. 안내판 글씨가 많이 안보이고, 탑은 오랜 된 것 같은데 문화재로 .. *경상-부산-대구/기타 2012.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