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용담동선사무덤유적(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40호) 가운데 길게 이어진 석렬을 경계로 남북으로 나뉘어져 분포하고 있는 무덤들이다. 남쪽 무덤지역에서는 타원형의 돌덧널무덤(석곽묘) 3기가 조사되었다. 출토유물은 모두 돌덧널의 암석틈과 바닥면에서 확인되었는데, 구멍무늬토기·골아가리토기·흑색 또는 흑갈색 간토기들이 있다. ..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4.23
제주 곽지패총(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41호) 패총(貝塚)이란 수렵, 어로, 채집에 의하여 살아온 옛 사람들이 조개를 먹은 뒤 버린 조개껍데기와 생활쓰레기가 함께 쌓여 이루어진 유적으로 조개더미라고도 한다. 곽지패총은 지표상에 흩어진 유물 분포 범위가 10,000평 이상의 대규모 유적지로 철기시대부터 조선시대에까지 이르는 ..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4.16
제주 명월성지(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9호) 제주시 북제주군 한림읍 명월리와 동명리 일대에 남아 있는 명월성터는 조선 중종 5년(1510)에 목사 장림(張琳)이 쌓았던 성터라 한다. 당시 이 근처의 비양도(飛揚島)가 왜군의 군함을 정박하던 곳이어서, 왜군을 막기 위해 이 곳에 성을 쌓았는데, 둘레가 3020척, 높이가 8척이며 동·서·..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4.16
제주 명월팽나무군락(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19호) 팽나무는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의 남부 지방에서는 폭나무, 포구나무 등으로 불린다. 나무가 매우 크게 자라며 옛날부터 풍수지리설에 따라 마을의 기운이 약한 곳을 보태주는 비보림이나 바람을 막아주는 방풍림을 만드는데 많이 심..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4.10
제주 명월대(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7호) 조선 후기 이 지방 유학자들과 시인들이 어울려 풍류를 즐기던 곳으로 남읍리와 함께 양반촌으로 알려진 한림읍 명월리에 있다. 명월대는 옆으로 맑고 고운 시냇물을 끼고 있으며, 수십 그루의 팽나무가 울창한 자연림을 이루고 있어 한여름 찌는 듯한 더위를 식히기에 좋은 곳이다. 또..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4.10
제주 절부암(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9호) 고씨부인의 절개를 기리고 있는 바위이다. 조선 후기 이 마을의 어부 강사철이 고기잡이를 나갔다가 거센 풍랑으로 변을 당하였다. 그의 처 고씨는 며칠동안 남편을 찾아 헤매다가 끝내 남편을 찾지 못하자 남편의 뒤를 따르는 것이 도리라 생각하여 소복을 입고 이곳 나무에 목매어 자..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4.09
제주 신도리도요지(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58-4호) 이 유적은 ‘일곱드르 노랑굴’이라고도 한다. 우리 선현들이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허벅·통개·병·장테 등의 도기를 만들었던 곳이다. 다른 지역에서는 그릇의 표면에 유약을 칠하지만, 이곳에서는 유약을 칠하지 않고 자연적으로 발색시킨다. 또한 다른 지역은 모두 토요(土窯)인..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4.04
제주 서림연대(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3-22호) 연대는 횃불과 연기를 이용하여 정치·군사적으로 급한 소식을 전하던 통신수단을 말한다. 봉수대와는 기능면에서 차이가 없으나 연대는 주로 구릉이나 해변지역에 설치되었고 봉수대는 산 정상에 설치하여 낮에는 연기로 밤에는 횃불을 피워 신호를 보냈다. 서림 연대는 해안가에 있..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4.04
제주 일과리지석묘(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2-42호) 종 목 :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2-42호 명 칭 : 일과리지석묘 (일과리지석묘) 분 류 :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지석묘 수량/면적 1기 지정(등록)일 : 2005.10.05 소 재 지 :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일과리 1021 시 대 선사시대 소유자(소유단체) : 사유 관리자(관리단체) : 사유 상 세 문 의 : 제주..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4.02
제주 동일리지석묘4호(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41호) 종 목 :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2-41호 명 칭 : 동일리지석묘4호 (동일리지석묘4호) 분 류 :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지석묘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2005.10.05 소 재 지 :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동일리 1619 시 대 : 소유자(소유단체) : 사유 관리자(관리단체) : 사유 상 세 문 의 : 제주도..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