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향교(충청남도 기념물116호)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서산향교는 조선 태종 6년(1406)에 서문 밖에 세웠다. 그 뒤 선조 7년(1574)에 군수인 최여림이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겨 세웠다. 향교 안에 있는 건물로는 대성전, 명륜당, 동무, 서무, 동재..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3.10
서산 여미리석불입상(충청남도 유형문화재132호)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여미리에 있는 불상으로, 1970년대 지금의 위치에서 1㎞ 떨어진 용장천 정비사업 때 하천에서 발견되어 현재의 위치로 옮긴 것이다. 전해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이 냇가에서 5㎞ 쯤 거슬러 올라간 상류에 2구의 불상이 있었는데, 그 중 하나가 떠내려온 것이라고 하..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3.10
당진 안국사지매향암각(충청남도 기념물163호) 당진안국사지매향암각은 자연석의 통바위로서 규모는 높이 2.93m, 길이 13.35m, 폭 2.5m이다. 형태가 배모양 같다 하여 '배바위' 또는 고래모양이라 하여 '고래바위' 또는 베틀에 딸린 북모양이라 하여 '북바위'등으로 불리우며 동쪽으로 머리를 두었다. 배바위의 암각 명문은 매향과 관계된 ..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3.10
당진 남이흥장군묘 일원(충청남도 기념물52호) 조선 중기 무신 성은(城隱) 남이흥(1567∼1627) 장군의 묘이다. 장군과 부인 하동 정씨, 장군의 아버지 남유의 묘가 한 자리에 모셔져 있다. 남이흥은 선조 31년(1598) 정유재란 때 아버지가 왜적에게 총을 맞고 죽자, 학업을 포기하고 활쏘기와 말타기에 전념하여 선조 35년(1602)에 무과에 급제..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3.08
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충청남도 유형문화재121호) 태실은 왕이나 왕실 자손의 태를 모셔두는 작은 돌방으로, 이것은 조선 제 13대 왕인 명종의 태를 묻었던 곳이다. 그 앞에는 태를 모신 것을 기념하기 위한 비 3기가 함께 자리하고 있다. 명종은 중종의 둘째 아들이면서 인종의 아우로, 불교를 중흥하고, 비변사를 다시 설치했으며, 권문세..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3.08
서산 김두징 묘비(충청남도 유형문화재146호) 조선시대 중기 사람인 김두징(1646∼1678) 선생의 묘비이다. 김두징 선생은 그의 넷째 조부인 김홍욱이 효종의 격분을 산 탓에 그도 벼슬에 오르지 못하고 평생 학업에만 열중한 인물로, 사망 후에야 이조참판 관직을 받게 되었다. 비는 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우고 지붕돌을 얹은 형태이다. ..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3.08
당진 영랑사 대웅전(충청남도 유형문화재15호) 영랑사는 신라 진흥왕 25년(564)에 아도화상이 세웠다는 설과 백제 의자왕 8년(648)에 당나라 아도화상이 세웠다는 두 가지 설이 있으나 모두 신빙성이 없다. 고려 선종 8년(1091) 대각국사 의천이 크게 수리하면서 사찰의 면모가 갖추어진 것으로 보인다. 조선 숙종 4년(1678)에 보수하였고, 일..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3.07
당진향교(충청남도 기념물140호)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당진향교는 조선 태조 7년(1398)이나 태종 7년(1407)에 지은 것으로 전하고 있다. 현재 남아 있는 건물로는 제사 공간인 대성전, 교육 공간인 명륜당, 학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와 서재, 삼..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3.07
당진 이의무의 묘 및 신도비(충청남도 기념물185호) <당진 이의무의 묘 및 신도비>는 묘역은 덕수이씨 가문의 묘역으로 이의무를 비롯하여 약 13기의 묘소가 있으며 이의무 묘는 곡장을 두르고 잇으며 매장형태는 단장(單葬), 분묘의 수량은 쌍분(雙墳)이며, 봉분의 외형은 원분(圓墳)임. 이의무 묘 규모는 둘레 약 18m, 높이 2m, 龍尾는 약 ..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3.06
천안 김시민장군유허지(충청남도 기념물166호) 임진왜란시 3대 대첩 중의 하나인 ‘진주성대첩’의 명장인 김시민 장군의 생가지와 사사처(射蛇處)인 유허지이다. 천안시 병천면 가전리 백전마을 노인들의 구전에 의하면, 이 곳은 김시민 장군이 태어나 어린시절을 보냈던 생가지로 전하고 있다. 현재는 1944년에 건축된 건물이 공가(..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