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신흠묘역및신도비(경기도 기념물145호) 문화재청에 있는 주소인 '퇴촌면 영동리 산12-1번지'는 너무 넓어 찾아가기 어렵다. 근처인 퇴촌면 영동리 31-1로 찾아간 후 적당히 주차한 후 걸어가기를 권해 본다. 신도비와 묘소를 보는데 30여분이면 된다. 신도비를 지나 묘소입구에서 U턴할수 있으나 도로가 너무 안좋다. 문화재청에는..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6.22
광주 신익희생가(경기도 기념물134호) 신익희 선생은 고려개국공신 신숭겸, 조선 중기의 신립장군(http://blog.daum.net/dbsqkqh/1306)의 후손이다. 마을 주민 이야기로는 평일날은 광주시 공무원이 나와 문을 열어 놓는단다. 본인은 휴일에 갔기에 안에는 들어가지 못했다. 신익희 선생생가 입구 안내판 해공 신익희선생생가가 있는 경..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6.22
광주 맹사성선생묘(경기도 기념물21호) 경기도 기념물21호인 광주 맹사성선생묘에 찾아 가는데 많은 시간을 소비하였다. 문화재청에 있는 주소인 '광주시 광주읍 직리 산27 '로 찾아갔다. 그러나 시골 산번지라 지역이 너무 넓어 엉뚱한 곳에서 헤매였다. 근처 번지인 '경기도 광주시 직동 358번지'로 찾아가기를 권해본다. 현장 ..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6.20
광주 허난설헌 묘(경기도 기념물90호) 허난설헌은 홍길동전 저자인 허균의 누나. 친정 아버지 허엽, 이복오빠 허성, 친오빠 허봉, 남동생 허균 등 친정식구들의 묘는 용인 원삼면에 있다.(http://blog.daum.net/dbsqkqh/5259) 허난설헌의 묘는 남편인 김성립, 시아버지, 시할아버지 등 시택식구와 같이 경기도 광주에 있다. 나무가 우거져..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6.19
연천 학곡리고인돌(경기도 기념물158호) 백학 면소재지에서 372도로를 타고 가다보면 강 건너기 전에 왼쪽으로 가라는 안내판이 있다. 좌회전 후 2km 쯤 가다보면 오른쪽으로 가라는 안내판이 있다. 고인돌이 공터에 보인다. 특이하게 가운데 물이 고여 있다.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부르며, 주..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6.17
연천 학곡리적석총(경기도 기념물212호) 연천 학곡리적석총은 오른쪽으로 가라는 안내판이 보인다. 연천 학곡리적석총이 오른쪽 나무옆에 보인다. 반대편 강가의 절벽이 아름답다. 학곡리적석총은 학곡리 돌마돌 마을에서 북동쪽으로 약 100m정도 떨어진 임진강변의 자연제방 위에 위치하고 있다. 강쪽의 구릉 말단부에 일정한 ..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6.16
연천 양원리고인돌(경기도 기념물209호) 문화재청에는 주소가 '연천군 연천읍 양원리 408-4 '로 되어 있는데 연천읍이 아니라 전곡읍에 있어요. 문화재청에 민원했네요. 답변 : 안녕하십니까? 항상 우리 군의 문화재 행정에 많은 관심을 가져주신데 대하여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민원 제기하신 부분(주소 정정)은 바로 정정하였음..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6.16
연천 심원사지(경기도 기념물213호) 연천 심원사지는 경기도 유형문화재138호인 연천군 심원사지부도군(http://blog.daum.net/dbsqkqh/4138)에서 조금 더 올라 가면 있다. 연천 심원사지는 경기도 기념물213호인데 현장 안내판에는 214호로 되어 있네요. 문화재청에 민원했네요. 답변내용 : 안녕하십니까? 저희 군정에 대한 많은 관심에 ..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6.16
연천군 심원사지부도군(경기도 유형문화재138호) 연천군 심원사지부도군은 연천 심원사지(http://blog.daum.net/dbsqkqh/4139) 가기 전에 있다. 길건너에는 부대가 있다. 심원사지는 지금은 많이 복원되어 있다. 부도는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셔두는 곳이다. 군부대가 주둔하고 있는 보개산 심원사 터에는 모두 12기에 이르..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6.16
연천 미수허목묘역(경기도 기념물184호) 미수 허목 묘역은 연천에 있는 문화재 중 유일하게 민통선 안에 있다. 신분증만 있으면 들어 갈 수 있다. 초소에서 상위부대에 신고후 허락을 받으면 신분증을 맡기고 사병 한명을 태우고 들어가야 한다. 허목묘역 배치도 군남면소재지에서 북삼리 방향으로 북삼교를 건너면 초소가 나온..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