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수어장대(경기도 유형문화재1호) 남한산성내 가장 높은 일장산에 있는 수어장대. 남문을 지나 남한산성을 시계방향으로 돌다보면 우측으로 가라는 안내판이 있다. 안쪽 태극무늬가 있는 문안에 청량당이 있다. 수어장대는 우측으로 가면 있다. 무망루와 리대통령 각하 행차 기념식수. 이승만 대통령 기념식수인듯합니다..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7.14
광주 연무관(경기도 유형문화재6호) 남한산성 내 남한산초등학교 동쪽에 있다. 주변에 마땅한 주차시설이 없다. 장터 연무관 근처에 있는 노거수인 보호수 성을 지키는 군사들이 무술을 연마하던 곳으로 조선 인조 2년(1624) 남한산성을 쌓을 때 함께 지은 것으로 추정한다. 처음에는 연무당으로 부르던 것을 숙종(재위 1674∼1..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7.14
광주 개원사지(경기도 기념물119호) 개원사 참배는 오전 7시부터 오후 5시까지. 남한산성 내에 있는 개원사터이다. 조선 인조2년(1624) 파손된 성곽을 보수하고 이를 지키기 위해 전국 8도의 승병을 성내 여러 사찰에 주둔케 하였는데, 개원사는 그 중 승병의 총 지휘소로 사용되었던 사찰이다. 그후 고종31년(1894)의 갑오개혁때..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7.11
광주 현절사(경기도 유형문화재4호) 병자호란때 항복하지 않고 끝까지 싸우기를 주창한 3학사 윤집·홍익한·오달제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세운 사당이다. 남한산성 안에 있다. 평택 홍학사 비각(경기도 문화재자료5호, http://blog.daum.net/dbsqkqh/2677) 용인 오달제선생 묘 및 대낭장비(용인 향토유적3호, http://blog.daum.net/dbsqkqh/1609..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7.11
광주 망월사지(경기도 기념물111호) 광주 남한산성에는 볼거리가 많다. 광주 장경사(경기도 문화재자료15호, http://blog.daum.net/dbsqkqh/4203) 광주 망월사지(경기도 기념물111호, http://blog.daum.net/dbsqkqh/4204) 광주 지수당(경기도 문화재자료14호, http://blog.daum.net/dbsqkqh/4213) 광주 현절사(경기도 유형문화재4호, http://blog.daum.net/dbsqkqh/4214) ..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7.08
광주 의안대군방석묘역(경기도 기념물166호) 문화재청에 광주 의안대군방석묘역의 주소가 '중부면 엄미리 152'로 되어 있는데 엄미리 산152번지에 있네요. 그러나 산번지라 너무 넓어 엄미리701번지로 찾아가세요. 문화재청에 민원했네요. 답변 1. 귀하의 행복과 발전을 기원합니다. 2. 경기도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에 애정에 감사드리..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7.07
용인 심대장군묘(경기도 기념물3호) 321번 도로에 있는 중동교와 상동교가 가까이 있다. 상동교에 3.5km가면 심대장군묘가 있다고 안내되어 있다. 공사중이다. 우회전한다. 2.2km남았다고 안내되어 있다. 멀리 사당이 있다. 사당 앞에 있는 안내판이 양쪽에 있는데 이상하다. 전에 2.2km남았다고 했는데 더 멀은 3.5km 남았단다. 또 ..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7.07
용인 처인성(경기도 기념물44호) 처인성숭첩기념비 멀리 숲이 있는 곳이 처인성이다. 안내판 뒤로 성이다. 처인성 안에는 나무들이 자라고 있다. 처인성은 토성이다. 처인성 북서쪽에 있는 사장터. 고려 고종 19년(1232) 몽고 장군 살리타이(撤禮塔)가 침입하였을 때 고려의 승장 김윤후가 이 성에서 격전 끝에 살리타이를 ..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7.07
용인 어비리삼층석탑(경기도 유형문화재194호) 용인 어비리삼층석탑은 용인 이동저수지 남측에 있는 동도사 대웅전 앞에 있다. 왼쪽에 이동저수지가 있고 오른쪽에 동도사가 있다. 삼층석탑은 이동면 어비리 동도사 경내에 있다. 임진왜란 때 왜군에 의하여 소실된 사지(寺址)에 있는 것을, 주민들이 파손된 부분을 보수하여 같은 장..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7.06
용인 음애이자묘역(경기도 기념물172호) 용인 음애이자묘역은 '기흥구 지곡동 산11-17'에 있지만 묘역 근처의 논인 '기흥구 지곡동 265'로 찾아가는 것이 좋을 듯하다. 이곳으로 내비가 안내했는데 아니다 싶어 되돌아옴. 여기서 우회전 이자 묘역이 보임. 안내를 잘못하여 길도 없는 곳으로 올라 갔다. 산등성 반대편으로 가야하지..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