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군 석우리선돌(경기도 기념물132호) 명칭이 여주군 석우리선돌이네요. 차라리 여주 석우리선돌이라고 했으면 여주시로 바뀌어도 무관했을텐데. 문화재청에는 주소가 석우리 260번지 인데 현장 안내판에는 석우리253번지 이네요. 현장 안내판 주소가 맞는 듯합니다. 문화재청에 민원했네요. 문화재로 지정된 것이 20년이 넘었..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4.12.25
강화 보문사 향나무(인천광역시 기념물17호) 향나무가 있는 석모도에 가려면 강화 외포리에서 배를 타고 건너야 한다. 그러나 배타는 시간은 짧다. 보문사에 있는 문화재이다. 강화 보문사마애석불좌상(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29호, http://blog.daum.net/dbsqkqh/5163) 강화 보문사석실(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27호, http://blog.daum.net/dbsqkqh/5162) ..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4.12.22
여주 이완장군묘(경기도 기념물16호) 이완장군 묘소는 '여주시 상거동 산 19-18'에 있다. 이완장군의 아버지는 충북 충주출신인 이수일로 본관은 경주. 자는 계순, 호는 은암, 시호는 충무이다. 1624년(인조 2) 이괄의 난 때 평안도병마절도사 겸 부원수로 안현에서 반군을 대파하여 진무공신 2등에 책록되고, 계림부원군에 봉해..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4.12.20
여주 흔암리 선사유적(경기도 기념물155호) 문화재청이나 현장 안내판에 주소가 '점동면 흔암리 산2-1'로 되어 있는데 실제는 '점동면 흔암리 134-21'에 있네요. 혹시 임시로 이곳에 복원한 것은 아닌지....도로에 있는 이정표를 보면 실제 같기도 하고... 문화재청에 민원했네요. 1. 귀하의 행복과 평안을 기원합니다. 2. 경기도 온라인 ..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4.12.20
여주 명성황후 탄강구리비(경기도 유형문화재41호) 명성황후 탄강구리비는 명성황후생가 동측에 있다. 4년전에도 갔었다.(http://blog.daum.net/dbsqkqh/1081) 지도에서 1번 민유중선생 묘 2번 명성황후 탄강구리비 3번 민유중선생 신도비이다 탄강구리비각 명성황후 민씨의 생가에 남아 있는 비로, 비가 서있는 이 자리는 어렸을적 그녀의 공부방이 ..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4.12.18
여주 명성황후생가(경기도 유형문화재46호) 4년전에 갔던 여주 명성황후생가에 다시 가보았다. 여주에서 명성로를 타고 가는 중이다. 우회전 하란다. 여주 명성황후생가 주차료이다. 전에는 없던 건물들이다. 여주 명성황후생가 종합안내판 여주 명성황후생가이다. 인현왕후의 아버지이며 명성황후 6대조 할아버지인 민유중선생묘..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4.12.18
여주 매룡리 고분군(경기도 기념물180호) 다음 장소에 서둘러 가야겠기에 여주 매룡리 고분군의 대략 위치만 확인하고 고분군을 직접보는 것은 다음을 기약하고 떠났다. 그러나 욕심이나 가는 곳마다 물어본다. 엉뚱한 곳에 있는 안내판. 결론부터 말하면 고분군이 있는 '여주시 매룡동 산 1-1'은 시골 산번지라 워낙 넓게 분포 되..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4.12.15
여주 강한사(경기도 유형문화재20호) 대로사(大老祠)는 1785년(정조9년)정조의 명에 의해 건립돼 1873년(고종10년) 강한사(江漢祠)로 개명됐다. 개명된 이유는 대로는 한자어 그대로 덕이 높고 학식이 풍부하여 존경할 만한 노인인 큰 어른 또는 큰 노인을 의미하는 것으로 당시 대로로 불리는 인물이 송시열과 흥선대원군 이하..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4.12.14
여주 대로사비(경기도 유형문화재84호) 여주 대로사비를 찾아 가는 방법은 강한사 찾아 가는 방법을 참조. 대로사(大老祠)는 1785년(정조9년)정조의 명에 의해 건립돼 1873년(고종10년) 강한사(江漢祠)로 개명됐다. 개명된 이유가 대로는 덕이 높고 학식이 풍부하여 존경할 만한 노인인 큰 어른 또는 큰 노인을 의미하는 것으로 당..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4.12.14
여주 계신리 마애여래입상(경기도 유형문화재98호) 문화재청에 여주 계신리 마애여래입상 주소가 계신리 559로 되어 있다. 이 번지는 넓어 찾아 가기 어렵다. 차라리 흥천면 계신리 산4으로 찾아가기를 권해본다. 석불암 방향으로 좌회전해도 되고, 조금더 직진하여 여기서 좌회전해도 된다. 좌회전한다. 여기에 주차한다. 계신리 마애여래..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4.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