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 유관선생묘(경기도 기념물 62호) 류관선생은 조선 개국공신이다. 류관(柳寬, 유관)선생묘가 있는 '강하면 동오리 산157번지'는 넓다. 인근인 '강하면 동오리 403번지'로 찾아 가기를 권해본다. 문화재청에 유관선생으로 되어 있는데 '柳'자를 쓰는 사람들은 '류'로 쓴다. 그래서 류관선생으로 해야한다. 비우당(http://blog.daum.n..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6.10.31
여주 구암한백겸묘 및 신도비(경기도 기념물 제165호) 한백겸(1552~1615)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학자. 본관은 청주, 자는 명길, 호는 구암이다. 조선 왕조의 개국공신 영의정 한상경의 7대손이며 한상경의 손자인 좌찬성 한계희(http://blog.daum.net/dbsqkqh/1282, 한명회의 사촌)의 5대손이다. 1579년(선조 12) 두 동생 한중겸, 한준겸과 함께 생원시에 합..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6.09.13
양평지평리삼층석탑(경기도 유형문화재180호) 양평지평리삼층석탑은 지평초등학교 교정에 있다. 현장 안내판 내용 : 이 탑은 지평리 야산에 있었다고 전하나 원 위치는 확인할 수 없고 1945년 현 위치로 옮겨져 2001년도에 복원한 것이다. 2층 탑신석과 3층 탑신석은 복원 때 새 석재로 보강하였으며 1층 탑신석 면에는 사면불의 형상으..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6.09.13
양평상자포리마애여래입상(경기도 유형문화재171호) 양평 상자포리마애여래입상은 양평문화재지만 여주문화재인 여주 파사성(사적251, http://blog.daum.net/dbsqkqh/5413)을 통해 가야 한다. 그거이 몰랐기에 그래서 파사성에 다시 찾아 갔다. 양평상자포리마애여래입상은 파사성 정상에서 더 가야한다. 파사성 가는 방법을 참고 하면 된다. 파사성..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6.09.01
양평 이순몽장군묘(경기도 기념물92호) 이순몽은 영천이씨로 증조부는 부사 이유, 조부는 밀직부사 이희충, 부친은 병조판서 이응이다. 모친은 정경부인 전주 최씨로 판서 최병례의 딸이다. 부인은 정경부인 능성 구씨로 구종절의 딸이다. 자녀는 1녀인데 사위는 정자제이다. 1419년 우군절제사로 이종무, 우박, 박초 등과 함께 ..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6.09.01
용인 유형원선생 묘(경기도 기념물32호) 유형원선생묘는 경기도 기념물32호인데 현장 안내판에는 경기도 기념물31호로 되어 있네요. 문화재청에 민원했네요. 답변 : [주관부서] : 행정문화국 문화관광과 [작성자] : 이X수 [전화번호] : 031-324-30XX [답변내용] : 1. 시정발전을 위한 관심에 감사드리며, 귀하의 가정에 평화가 가득하기..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5.06.22
용인 문수산마애보살상(경기도 유형문화재120호) 가까이에 있는 '문수산마애보살상'을 찾아 가보기로 했다. 용인 시내에서 와우정사 옆을 지나 원삼, 백암 방향으로간다. 정상에 동물이 지나가도록 만든 터널이 있다. 지나자마자 오른쪽에 주차 한다. 주차를 하고 안내판이 있는 곳으로 올라 간다. 2km가면 있단다. 오르다 보면 쉽터가 나..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5.05.22
여주 정대년신도비(경기도 유형문화재148호) 전에 정대년 신도비를 찾아갔다가(http://blog.daum.net/dbsqkqh/5150) 먼 발치에서 보고 다시 찾아 갔다. 장호원 방향에서 찾아 가는 중이다. 왼쪽에 입구가 있다. 이곳에 좁은 주차 공간이 있는데 이곳에 주차하시기를... 주소는 대략 '점동면 원부리 산 3-3'이다. 전에처럼 철문이 잠겨있어 기둥 왼..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5.05.12
인천 용궁사느티나무(인천광역시 기념물9호) 왼쪽 좁은 길로 올라 간다. 이곳 주차장에 주차하고 걸어가는 것이 편하다. 멀리 할아버지 느티나무가 보인다. 반대편에 있는 할머니 느티나무이다. 느티나무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대만, 중국 등의 따뜻한 지방에 분포하고 있다. 가지가 사방으로 퍼져 자라서 둥근 형태로 보이며..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5.02.16
인천 용궁사(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15호) 왼쪽 작은길로 올라간다. 도로가 좁으니 운전 조심하시기를... 좀더 올라 가도되나 이 곳에 주차하고 걸어간다. 인천광역시 기념물9호인 용궁사 느티나무가 보인다. 용궁사 느티나무는 두 그루가 있다. 영종도 백운산 동북쪽 기슭에 자리잡고 있는 용궁사는 신라 문무왕 10년(670)에 원효대..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5.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