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이세화선생묘(경기도 기념물60호) 화석정을 보고 78번 도로를 타고 선유리 방향으로 1.5km쯤가면 된다. 오른쪽에 파주수도관리단 입구이다. 오른쪽으로 가라는 안내판이 있다. 오른쪽 길인 주택 옆길로 간다. 우회전 한다. 급커브라 조심한다. 홍살문이 보인다. 오른쪽에 주차한다. 뒤돌아본 모습이다. 신도비가 보인다. 묘..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4.05.11
파주 월롱산성지(경기도 기념물196호) 파주탄현국가산업단지 쪽에서 363도로를 타고 4km 가다보면 왼쪽으로 가라는 안내판이 보인다. 경사와 커브길이라 조심해야 한다. 오른쪽으로 가야 한다. 승용차로 더욱 올라 갈수 있으나, 요쯤에 주차하고 걸어가는 것도 좋을 듯. 도로가 좁고 경사가 심함. 정상부분에 주차하고 왼쪽으로..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4.05.11
양주 백인걸선생묘(경기도 기념물58호) 백인걸은 수원백씨로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이자 사림파 정치인이며 성리학자이다. 정암 조광조, 모재 김안국의 문인이며, 율곡 이이와 우계 성혼은 그의 문하생이었다. 성혼은 조광조의 문하생인 성수침의 아들이다. 백인걸의 자는 사위(士偉), 호는 휴암(休菴)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백..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4.05.11
파주 황희선생묘(경기도 기념물34호) 황희정승은 음관으로 녹사에 올랐다가 27세 되던해에 문과에 합격한 인물이다. 큰아들 황치신, 둘째아들 황보신, 영의정을 한 셋째아들 황수신이 있는데, 아들 모두 음서제도 벼슬길에 올랐다. 4부자 모두 음서제로 벼슬을 시작했던 셈이다. 음서제란 부모가 높은 벼슬을 사람의 자녀를 과..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4.05.11
파주 황희선생영당지(경기도 기념물29호) 황희선생영당지는 파주 황희선생유적지 안에 있다. 황희선생유적지 안내도 황희선생유적지 입장료는 성인 1,000원이다. 이 청정문 안으로 들어가 왼쪽으로 간다. 파주 반구정(경기도 문화재자료12호, http://blog.daum.net/dbsqkqh/4625)은 맞은편 언덕 위에 있다. 전기의 문신이며, 청백리의 대표격..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4.05.11
파주 다율리.당하리지석묘군(경기도 기념물129호) 파주 다율리.당하리지석묘군은 이름처럼 다율동, 당하동 일대에 있는 지석묘이다. 처음에는 106기가 있었는데 지금은 23기가 있단다. 경기도 기념물182호인 파평윤씨정정공파묘역 있는 곳에 있다. 문화재청 홈피와 다소 내용이 다르다. 본인은 그 중 2기의 지석묘를 보았다. 성재암이다. 이..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4.05.08
수원 아담스기념관(경기도 기념물175호) 아담스기념관은 삼일중학교내 수원시 팔달구 매향동 17-2(팔달구 수원천로 342)에 있다. 또는 삼일공고와 같은 매향동 10-22이다. 그런데 문화재청에는 매향동 110번지로 되어있다. 매향동 110번지는 매향중학교와 매향정보고등학교 주소이다. 다만 삼일중학교와 접해있을 뿐이다. 그래서 그..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8.27
광주 청량당(경기도 유형문화재3호) 청량당은 수어장대 옆에 있다. 남문에서 시계방향으로 돌다 보면 수어장대와 같이 있다. 우측으로 가라는 안내판이 보인다. 안쪽에 태극무늬 문안에 청량당이 있다. 사진 왼쪽 계단으로 올라가면 수어장대가 있다. 청량당앞에 있는 보호수. 이회와 그의 부인 그리고 벽암대사를 모신 사..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7.14
광주 침괘정(경기도 유형문화재5호) 남한산성 행궁과 남한산초등학교 사이에 있는데 본인은 숭렬전을 보고 숭렬전 약수터 옆으로 산길 따라 내려왔다. 행궁 앞 남한산성 종각 뒤로 올라 가면 가깝다. 침괘정, 숭렬전, 수어장대 이정표 멀리 침괘정이 보인다. 세운 시기를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조선 영조 27년(1751) 광주유..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7.14
광주 숭렬전(경기도 유형문화재2호) 남한산성을 시계방향으로 돌다 북문으로 내려오면 우측으로 가라는 안내판이 있다. 사진 왼쪽 구석에 있는 길이던지 밝게 보이는 경사길로 좌회전한다. 본인은 첫번째 길로 갔다. 오솔길 따라 잠시 걷다보면 문이 보인다. 주춧돌이 자연스럽다. 숭렬전 제향 숭렬전 옆에 있는 약수터 숭.. *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