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별도환해장성(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49-2호) 환해장성이란 배를 타고 들어오는 외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제주도에서는 해안선을 따라가며 성을 쌓은 것을 말한다. 환해장성은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49호로 지정되어 있다. 현장 안내판에 별도 환해장성으로 표기했으면 합니다.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49-2호로 하고요. 왼쪽에 보이는..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5.24
제주 삼사석(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4호) 삼사석은 탐라국(지금의 제주도)의 시조인 고씨, 양씨, 부씨가 나라를 세우고 벽랑국의 3공주를 부인으로 맞은 후 도읍을 정하기 위해 화살을 쏘았을 때 그 화살이 꽂혔던 돌을 말한다. 화살을 쏘았다고 해서 일명 ‘시사석(矢射石)’이라 하며 이곳 사람들은 ‘살쏜디왓’이라고 부른다...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5.23
제주 도련지석묘2호(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9호)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권력을 가진 지배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4개의 받침돌을 세워 무덤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놓은 탁자식과, 땅속에 무덤방을 만들고 작..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5.22
제주 도련지석묘1호(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8호)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권력을 가진 지배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4개의 받침돌을 세워 무덤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놓은 탁자식과, 땅속에 무덤방을 만들고 작..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5.22
제주 도련귤나무(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0호) 제주도에서는 가을에 감귤이 노랗게 익는 경치를 ‘귤림추색’이라 하여 제주도에서 제일 경치가 좋다는 영주십경의 하나로 꼽는다. 귤나무는 제주도를 중심으로 경상남도, 전라남도의 따뜻한 해안 지대에서 재배되고 있다. 사시사철 푸른 상록수이며, 잎은 피침형으로 서로 어긋나게 ..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5.22
제주 조천연대(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3-5호) 연대는 횃불과 연기를 이용하여 정치·군사적으로 급한 소식을 전하던 통신수단을 말한다. 봉수대와는 기능면에서 차이가 없으나 연대는 주로 구릉이나 해변지역에 설치되었고 봉수대는 산 정상에 설치하여 낮에는 연기로 밤에는 횃불을 피워 신호를 보냈다. 조천 연대는 동쪽으로 왜..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5.21
제주 연북정(제주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3호) 바닷가 평지에 자리잡고 있는 정자로 조선 선조 23년(1590)에 조천관 건물을 새로 지은 후 쌍벽정이라 하였다가 선조 32년(1599)에 건물을 보수하고 이름을 연북정으로 고쳤다. ‘연북’이라는 정자의 이름은 제주도로 유배 온 사람들이 한양의 기쁜 소식을 기다리면서 북쪽에 계시는 임금을..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5.21
제주 조천비석거리(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31호) 제주도에는 역사가 오래된 마을마다 비석거리가 존재하는데, 이 비석거리는 조천 포구 입구에 자리잡고 있다. 조천지방은 교통수단을 바닷길로만 의존할 당시 제주성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던 포구로, 많은 관리들이 이곳을 거쳐갔다. 이러한 제주목사나 판관 등 지방관리들의 부임 ..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5.21
제주 신촌향사(제주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8호) 신촌향사는 마을의 공무를 처리하던 곳이다. 조선 순조 5년(1805)에 이곳으로 옮겨 지었다고 하며, 그 뒤로도 여러 차례 고쳐서 원래 형태에서 많이 바뀐 것으로 보인다. 특히 최근 보수 때 침수에 대비하여 지대를 높이면서 본래의 분위기를 거의 잃었다. 앞면이 7칸으로 제주도의 일반 민..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5.20
제주 북촌리선사주거지유적(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42호) 선사시대의 유적으로, 제주도의 화산활동에 의해 생긴 동굴을 그대로 이용한 대표적인 집자리이다. 이곳에서는 ‘고두기엉덕’이라 부르는데, 엉덕이란 바위그늘 밑을 뜻하는 말로, 그늘부분이 생활공간이 된 것을 의미한다. 바위밑 그늘은 앞면의 너비가 11m, 높이 2.5m, 길이 3m로, 햇빛..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