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북촌동굴(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53호) 북촌동굴은 화산의 용암이 흘러내려 만들어진 동굴로 농지개간 중에 발견되었다. 동굴 안에는 용암이 둥근 공처럼 굳은 용암구(鎔岩球), 용암이 바닥에서 돌출되어 올라온 용암석순 등 다양한 생성물이 있다. 북촌동굴은 지질학적 가치가 높고, 향토문화 보존에 필요함이 인정되어 기념..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5.19
제주 종달연대(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3-16호) 연대는 횃불과 연기를 이용하여 정치·군사적으로 급한 소식을 전하던 통신수단을 말한다. 봉수대와는 기능면에서 차이가 없으나 연대는 주로 구릉이나 해변지역에 설치되었고 봉수대는 산 정상에 설치하여 낮에는 연기로 밤에는 횃불을 피워 신호를 보냈다. 수산진에 소속되었던 종달..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5.14
제주향교(제주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2호) 제주향교는 공자를 비롯한 옛 성현들에게 제사지내고 지방민의 교육을 위해 세운 국립교육기관이다. 조선 태조 원년(1392) 제주성내 교동에 세웠으며 순조 27년(1827)에 지금의 자리로 옮겨 오늘에 이른다. 현재 남아있는 건물로는 공부하는 곳인 명륜당, 사당인 대성전과 계성사 등이 있다...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5.13
제주 동백동산(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10호) 동백나무는 차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중국 등의 따뜻한 지방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남쪽 해안이나 섬에서 자란다. 꽃은 이른봄에 피는데 매우 아름다우며 꽃이 피는 시기에 따라 춘백(春栢), 추백(秋栢), 동백(冬栢)으로 부른다. 동백동산은 북제..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5.13
제주 향사당(제주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6호) 무과에 합격하지 못한 각 고을 무반(武班)들이 봄·가을 2차례 모임을 갖고 활쏘기와 잔치를 베풀며 여러 가지 일들을 의논하던 곳이다. 가락천 서쪽에 처음 지었던 것을 조선 숙종 17년(1691)에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겨 짓고 향사당(鄕射堂)이라 이름지었다. 그 뒤 정조 21년(1797)에 이름을 향..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5.07
제주 녹나무(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34호) 녹나무는 사시사철 잎이 푸른 나무로 제주도, 일본, 대만, 중국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어린 가지는 황록색이고 윤택이 있으며, 잎은 길이 6∼10㎝로 어긋난다. 어린잎은 붉은 빛이 돌아 봄부터 여름까지 전체가 특이한 붉은 빛으로 보인다. 꽃은 5월에 피는데 처음에는 백색이었다가 황색..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5.07
제주 오현단(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1호) 오현단 옆으로 올레길17코스가 지나간다. 말그대로 다섯명의 현인을 모신곳이다. 근거리에는 제주성지(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3호, http://blog.daum.net/dbsqkqh/4016)가 있다. 오현단 송시열 선생의 글씨로 하여 판관 홍경섭이 바위에 새긴 ‘증주벽립’이라는 글씨 송시열 선생의 ‘적려유허비..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5.07
제주성지(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3호) 제주성지는 종교와 관련된 성지(聖地)가 아니라 성을 쌓던 터인 성지(城址)이다. 1925~1928년까지 제주항을 개발하면서 성벽을 허물어 바다를 매립하는 골재로 사용하여 제주성의 옛자취가 사라졌다는데 누가 그런 생각을 했는지 한심하네요. 일도초등학교와 남문사거리 사이에 있다. 옆에..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5.07
제주 무환자나무(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33호) 무환자나무는 자식에게 화가 미치지 않는다하여 무환자나무라 하며, 제주도에서는 도욱낭 또는 더욱낭으로도 불리고 있다. 열매는 염주를 만드는데 쓰여졌기 때문에 절이 세워진 후에 심어진 것으로 보인다. 아라동 금산공원 계곡에서 자라는 무환자나무는 높이가 10m이며, 둘레가 3.4m로..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4.25
제주 영평조록나무(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1호) 조록나무는 항상 푸른나무로 제주도와 완도에서 자라고 있으며 제주도에서는 조로기낭 또는 조래기낭으로 불려지고 있다. 이 나무는 나무의 질이 촘촘하여 머리빗 등을 만드는 재료로 쓰여왔다. 영평의 조록나무는 개인 과수원 안에서 자라고 있으며 높이는 14m, 둘레는 3m로 큰 나무이다..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4.25